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국내 입국하는 크루즈 관광객 100만 명 시대 도래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41112 조회수 : 724

국내 입국하는 크루즈 관광객 100만 명 시대 도래


11월 12일 올해 처음으로 100만 명 돌파, 부산에서 환영행사 개최


 


해양수산부(장관 이주영)는 올해 우리나라에 입국한 크루즈 관광객이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100만 번째 크루즈 관광객 주인공은 미국 국적의 여성 사라 수(Sarah Su, 68세) 씨로, 11일 오후 6시에 2,600여 명을 태우고 중국 톈진항을 출발한 사파이어 프린세스(Sapphire Princess) 호(115,875톤, 미국)를 타고 12일(수) 12시 부산 동삼동 크루즈 터미널로 입국하였으며, 부산항만공사는 이곳에서 100만 번째 크루즈 관광객을 환영하는 행사를 가졌다.


국내 입항한 크루즈 관광객은 2012년에 28만 명이었으나, 지난해 79만 명으로 급증하였고, 올해는 100만 명을 돌파한데 이어 연말까지 105만여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크루즈 관광객은 대부분 씀씀이가 큰 중국인(90% 이상)*으로서 쇼핑과 버스 임대료 등을 통해 약 7,500억 원 규모의 경제효과**를 내며 지역상권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올해 9월까지 입국한 크루즈 관광객(893,169명)은 중국인 90.2%(805,517), 일본인 3.2%(28,999), 미국인 1.3%(11,198), 내국인 0.6%(5,482), 기타 4.7%(41,973)

 ** '13년 크루즈 관광객 지출규모(1인 평균 662$ 소비, 관광공사 조사)를 기준으로 할 때, 올해 크루즈 관광객의 경제효과는 7,500억 원(버스임대료, 항만사용료 등) 이상 전망


올해 크루즈 관광객의 증가를 주도한 것은 제주 관광을 선호하는 중국인 수요로 분석된다. 제주항에 기항한 크루즈 이용객은 56만 명으로 전년(37만 명) 대비 1.5배나 증가하였다. 또한, ‘크루즈 활성화 대책’을 발표(‘13.7.)하고,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관광서비스업 육성 과제로 포함하여 추진하는 등 크루즈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의 강한 정책의지와 ‘아시아 크루즈 리더스 네트워크(Asia Cruise Leaders Network)’* 구축에 따른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양수산부는 분석하였다.


 * 지난 8.27.∼8.29. 개최된 '제2회 제주 국제크루즈 포럼'에서 해양수산부, 해외 크루즈 선사 등이 참여하여 구성


이상문 해양수산부 해운정책과장은 "주요 크루즈 선사가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시장에 초대형 크루즈선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크루즈선의 국내 기항 유치를 위한 노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글파일 141113(조간) 크루즈 관광객 100만명 시대 도래(해운정책과).hwp
  • 세월호 실종자 수중수색 종료 대국민 발표문
  • [보도자료] 세월호 침몰사고 범정부사고대책본부 해체(범대본)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