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2020년부터 식탁에서 다시 우리 명태를 먹을 수 있다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41127 조회수 : 641

2020년부터 식탁에서 다시 우리 명태를 먹을 수 있다

 

- 해양수산부, 2017년까지 국산 명태 생산기술 확보 추진 -

 

해양수산부(장관 이주영)는 과도한 어획 등으로 사라진 명태를 회복 시켜 국민식탁에 올리기 위해 2017년까지 명태 종묘 생산기술을 완전히 확보하고, 2020년부터 경제성 있는 명태를 생산하겠다는 ‘2015년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야심차게 발표하였다.

 

특히 2015년부터 부화한 어린 명태를 방류하는 사업을 처음으로 추진 하고, 2017년에 완전한 종묘생산체제를 구축한 후 2018년부터는 생산된 수정란 또는 새끼 명태를 민간에 보급하여 육상에서 양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 명태 수정란 확보 계획(단위 : 만 개): (’14)10 → (’15)100 → (’16)500 → (’17)1,000 → (’18)5,000 → (’19)10,000 → (’20)50,000

 

해양수산부는 우리 동해 해역에 명태자원을 회복시키기 위해 올해 2월부터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왔다. 올해는 명태 수정란 10만 개를 확보하여 그 중 9만 마리를 1cm 이상의 치어로 부화시키는 등 우리 종묘 생산기술을 확인하고, 3∼4월에 확보한 살아있는 명태 3마리를 현재까지 사육하고 있어 육상양식의 가능성도 증명하는 성과를 얻었다. 또한 아야진과 양양 사이의 동해 수역에서 소규모이지만 명태 산란장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명태 수정란은 부화 35일 후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부레팽창증 등의 문제로 모두 폐사하여 명태의 성장과정에 대한 더 깊은 생태연구와 새끼 명태로 성장시키기 위한 충분한 명태 수정란의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한글파일 141128 (조간) 2020년부터 식탁에서 다시 우리 명태를 먹을 수 있다(수산자원정책과

  • 10월 항만물동량
  • 12월의 어식백세 수산물은 대구와 과메기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