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참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응 브리핑(315차, 서면)

작성자 : 장성동 작성일 : 2025-11-20 조회수 : 0

오염수 방류 대응 전반

- 브리퍼 : 국무조정실 김영수 국무1차장 -

 

 

< 1. 인사말씀 >

 

□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입니다.

 

< 2. 오염수 16차 방류 종료 >

 

□ 도쿄전력은 지난 월요일(11.17) 오후 12시 3분경 10월 30일부터 시작된 오염수 16차 방류를 종료하였습니다.

 

□ 이번 16차 방류 기간에는 총 7,838세제곱미터(m3)의 오염수가 방류되었으며, 방류된 오염수에 포함된 삼중수소는 약 2.0조 베크렐(Bq)이었습니다.

 

○ 방류 중 해수배관헤더에서 채취된 시료의 삼중수소 농도는 리터(ℓ)당 215~339베크렐(Bq)로, 방류 기준치인 리터(ℓ)당 1,500베크렐(Bq) 이하였습니다.

 

○ 다음으로, 방사선감시기 측정 결과, 해수 취수구에서는 3.3~6.3cps, 상류수조에서는 3.5~5.2cps, 오염수 이송펌프에서는 4.3~5.8cps가 측정되어, 16차 방류가 시작되기 이전의 평상시 수준의 수치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변동이 없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 오염수 이송 유량은 시간당 최대 19.17세제곱미터(m3), 해수 취수량은 시간당 14,666~15,127세제곱미터(m3)로 기록되었으며,

 

○ 오염수 유량과 해수 취수량의 비율이 1 대 800 내외로 유지되는 등 계획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 또한, 도쿄전력이 16차 방류 기간 중 후쿠시마 원전 인근 3km 이내 해역 10개 지점 및 10km 이내 해역 4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 3km 이내 4개 지점에서 삼중수소가 13회 검출*되었으나, 방출 중단 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았습니다.

 

* 0~3km 해역 삼중수소 검출(13회) 농도 평균 약 19Bq/L

** (0~3km 해역) 700Bq/L, (3~10km 해역) 30Bq/L

 

□ 정부는 앞으로도 철저히 모니터링하는 등 국민의 우려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3. 전문가 현지 파견 활동 결과 >

 

□ 우리 정부는 지난주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소속 전문가를 후쿠시마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 우리 전문가들은 IAEA 현장사무소와 원전 시설을 방문하여, 방류설비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IAEA와 일본 측으로부터 방류 상황 등 정보를 공유받았습니다.

 

① IAEA 현장사무소 방문

 

□ 먼저, IAEA는 도쿄전력 현장점검을 통해 방류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결과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 해수배관헤더*에서 정기적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삼중수소 농도를 독립적으로 분석한 결과, 기준치(1,500Bq/L) 이하임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 측정·확인용 탱크에서 이송된 오염수가 해수와 만나 희석되는 장소

 

○ 또한,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모니터링 결과도 이상치 판단기준 미만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② 원전 시설 방문

 

□ 다음으로, 우리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원전 시설을 방문하여, 주요 설비와 시설의 상태 및 방류 상황 등을 확인했습니다.

 

○ 확인 결과, 이송설비 구역과 전기기기실의 순환·이송펌프, 오염수 유량계와 유량조절밸브 등 설비의 상태에 특이사항은 없었습니다.

 

□ 또한, 도쿄전력 측과 질의응답을 통해 도쿄전력이 현재 17차 방류 대상 오염수 시료를 분석 중이며,

 

○ 18차 방류 대상 오염수는 측정·확인용 탱크(K4-B)로 이송 완료하여, 현재 교반·순환 작업 중이며 조만간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할 예정임을 확인했습니다.

 

□ 이상입니다.

 

우리 해역 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브리퍼 :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 -

 

 

< 1. 인사말씀 >

 

□ 해양수산부 차관입니다.

 

< 2. 우리 해역·수산물 안전관리 현황 >

 

□ 11월 19일 기준, 우리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상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생산단계*와 유통단계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는 231건과 211건으로 모두 적합입니다.

 

* (검사 건수 상위 5개 품목) 갈치 13건, 삼치 13건, 굴 10건,

황다랑어 9건, 고등어 8건

 

□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 결과입니다.

 

○ 국내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오만둥이, 대합 등 4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23년 4월 24일 이후 총 959건을 선정하였고, 954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11월 3주차 5건(김, 가자미, 주꾸미, 오징어, 낙지) 선정

○ 수입 수산물 중 검사가 완료된 노르웨이 고등어, 일본 명태 2건을 포함해 국민신청 방사능 검사 게시판 운영을 시작한 작년 1월 26일 이후 총 274건을 선정하였고, 272건을 완료하였으며,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11월 3주차 노르웨이 연어, 중국 아귀

 

□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된 일본산 수입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144건이고, 방사능이 검출된 수산물은 없었습니다.

 

□ 수산물 삼중수소 모니터링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국내산 방어, 대구 등 28건을 대상으로 삼중수소를 모니터링하였고 그 결과 불검출이었습니다.

 

* 기준 : 영유아용 식품 1,000Bq/kg, 기타식품 10,000Bq/kg 이하(검출한계치 : 10Bq/kg)

 

□ 선박평형수 안전관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치바현 치바항에서 입항한 선박 8척에 대한 조사가 있었고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치바현 등에서 입항한 선박 649척에 대한 선박평형수 방사능 조사 결과, 모두 적합이었습니다.

 

□ 해수욕장에 대한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추가로 조사가 완료된 부산 해운대·광안리 등 2개 해수욕장 모두 안전한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11월 2주(’25.11.3~11.7) 분석 의뢰한 전국 2개소 검사완료

 

□ 해양방사능 긴급조사 현황입니다.

 

○ 지난 브리핑 이후 남중해역 12개 지점, 남동해역 15개 지점, 원근해 25개 지점의 시료분석 결과가 추가로 도출되었습니다.

 

○ 세슘134는 리터당 0.066 베크렐 미만에서 0.091 베크렐 미만이고, 세슘137은 리터당 0.067 베크렐 미만에서 0.091 베크렐 미만이며, 삼중수소는 리터당 6.2 베크렐 미만에서 6.8 베크렐 미만이었습니다.

 

* (134Cs) <0.066~<0.091Bq/L, (137Cs) <0.067~<0.091q/L, (3H) <6.2~<6.8Bq/L

 

○ 이는 WHO 먹는 물 기준 대비 훨씬 낮은 수준으로, 방류 이후에도 우리 바다는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 이상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데이터

- 브리퍼 : 원자력안전위원회 김성규 방사선방재국장 -

 

 

< 1. 인사말씀 >

 

□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입니다.

 

< 2.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 >

 

□ 지난 브리핑 이후 도쿄전력이 공개한 후쿠시마 원전 인근 해역의 삼중수소 농도 분석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도쿄전력은 원전으로부터 3km 이내 해역에 대해 11월 11·12·14·15·16일에 각각 4개, 13·17일에 각각 10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와,

 

○ 3~10km 이내 해역에 대해 11월 12·17일에 각각 1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 각각 이상치 판단 기준인 리터(ℓ)당 700베크렐(Bq)* 및 30베크렐(Bq)**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 3km 이내 총 10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5.6(검출하한치 미만)~33

   ** 3~10km 이내 1개 정점 삼중수소 농도 : <6.9~<7.4(검출하한치 미만)

 

□ 이상입니다.

한글파일 251119_315차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응 브리핑(내부 서면)[최종].pdf
  • 한-UAE, UAE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등 공동 추진한다
  • 12월 울릉도 뱃길 대체여객선 투입 결정... 해수부, 동절기 전 항로 일제 점검 추진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