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점박이물범 최대 서식지 백령도 해역 해양보호구역 지정 추진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7-16 조회수 : 1752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점박이물범의 개체수 감소를 막기 위하여 인천시 옹진군 백령도 주변해역을 올해 안에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령도 주변해역의 해양보호구역 지정 추진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7월 16일(화) 오후 3시 옹진군 백령면 사무소에서 공청회를 개최한다.


해양수산부는 그간 개체수가 감소추세에 있는 점박이물범의 법적 보호를 위해 2006년도에 보호대상해양생물*로 지정하고, 서식지 등 생태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사해 오면서 해양보호구역 지정을 추진해 왔다.


 * 보호대상해양생물 : 포획, 채취, 훼손 시 3년 이하 징역 및 2천만원 이하 벌금 부과


해양포유류 연구전문기관인 고래연구소에서 조사한 백령도 일원의 점박이물범은 2006년도 274마리, 2007년 139마리, 2009년 250마리, 2011년 246마리가 관찰되어 6년 동안 평균 매년 약 220마리가 꾸준히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점박이물범은 겨울철에는 중국 보하이(渤海) 랴오둥만(遼東灣)의 유빙(流氷) 위에 새끼를 낳고 봄부터 가을까지는 백령도 황해의 도서 연안에서 먹이 활동과 휴식을 취하는 관계로 조사시기 및 방법에 따라 개체수가 다를 수 있으나 대개 8월과 9월에 가장 많이 관찰된다.


해양수산부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해양보호구역 지정에 대한 지자체와 인근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관계부처 협의와 해양수산발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올해 안에 백령도 주변해역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해양생태계의 체계적 보전을 도모하는 한편,


개체수에 비해 휴식공간이 부족한 물범바위 주변에 인공섬을 조성하여 안전한 서식환경을 조성하고, 물범 관찰 전망대 등 생태관광 기반 시설도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점박이물범의 개체수 보존을 위해서는  월동지인 중국 보하이만 서식지 보호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므로 한-중 황해 해양보호구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국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해양수산부가 2010년에 개최한 ‘백령도 점박이물범 보전을 위한 국제심포지움’에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인접국의 전문가 등이 참여하여 국제 협력에 대해 논의한 바 있으며, 향후 중국 등 인접국가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점박이물범 보전에 더욱더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한글파일 130716(조간) 백령도 해양보호구역 지정 추진(해양생태과).hwp
  • 유통비용 거품 확 빼고, 안전하고 깨끗한 수산물 공급
  • 유류오염피해 가능성 적은 선박은 보장계약 체결의무 면제된다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