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못하는 게 없는 스마트폰, 오차 1m급 위치 정보까지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9-11 조회수 : 1614

해양수산부(윤진숙 장관)는 정부 3.0 구현 취지를 살려 그 동안 해양교통 등 특수 목적으로만 이용돼온 오차 1m급 고정밀위치(DGPS) 정보를 일반 시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DMB* 전송기술을 개발하여 이르면 내년부터 제공한다.


*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영상이나 음성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기술 및 이를 휴대용 IT기기에서 방송하는 서비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정부 3.0 실현을 위한 정밀위치정보의 대국민 공개방안"을 10일 열린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DGPS(Differential GPS)는 해양수산부가 전국에 17개 기준국을 세워 기존 GPS의 오차를 1m 정도로 줄인 고정밀 위치 정보로서, 그동안 선박 항해, 연구, 측량 등 특수 목적에 주로 이용되었다.


지금까지 DGPS 이용을 위해서는 고가의 수신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해양수산부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2년에 걸쳐 DMB 전파에 DGPS 정보를 실어 보내는 기반기술 개발을 완료함에 따라,


일반인들도 이르면 내년부터 별도 수신기 없이 스마트폰이나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DGPS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해양수산부는 DGPS 정보를 DMB 방송으로 전송할 준비가 되어있는 (주)YTN(대표이사 배석규)과 9월 9일, (주)문화방송(대표이사 김종국)과 9월 10일 각각 ‘정부 3.0 구현을 위한 지상파 DMB 기반 DGPS 위치정보 방송 업무협약’을 체결했음


다만, 해양수산부는 당장 일반 국민들이 DGPS를 이용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다음 과제를 조속한 시일 내에 해결할 계획이다.


첫째, 우선 단말기 제조사에서 단말기에 기존의 GPS칩 대신에 멀티칩을 장착해야하며,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도 필요하기 때문에 스마트폰·내비게이션 단말기 제조사와 협의를 진행 중이며, 차기 생산 단말기 모델에는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방 소도시나 해상과 같이 DMB가 잘 안 잡히는 지역의 DGPS 이용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등대 등에 DMB 중계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방송사와 협의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끝으로 일반 이용자가 DGPS 정보에 기반한 컨텐츠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예를 들면, 안심귀가 앱이나 구난구조, 장애인 길 안내, 차로 구분 교통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레이더 등 기본적인 항해장비 없이 조업하는 5톤 미만의 소형선박이 암초 등 위험구역과, 조업구역, 기상정보 등을 실시간 이용할 수 있는 앱도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 관련 S/W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이고, 정부에서 추진중인 고용창출 효과도 배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수산부는 어플리케이션이나 관련 컨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산하 위성항법중앙사무소에 기술지원 센터(042-824-0941)를 운영할 계획이다.


한편, 위치기반서비스(LBS)·지리정보시스템(GIS) 등 우리나라의 범지구위성항법시스템(GNSS) 응용시장은 ‘12년 기준 1조 2천억원 규모로 연평균 10% 이상 급성장(정보통신진흥원-LBS 시장 및 업체동향, ’11. 1)하고 있으며,


* LBS(Location Based Service),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세계 GNSS 응용시장 규모도 ’14년에 8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Gartner Forecast-Consumer LBS, Worldwide)되고 있다.

한글파일 130910(석간) DGPS-오차 1m급 위치정보(해사안전시설과).hwp
  • 부산북항, 경관수로와 수변공원 연계하는 친수공간 조성
  • 아시아-유럽간 新해양실크로드 ‘북극항로’ 9월 15일 국적선사 최초 시범운항한다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