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삼척·속초항 방파제에 너울성파도 경보시스템 구축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9-11 조회수 : 1652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너울성 파도에 의한 방파제 내방객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삼척항과 속초항 방파제에 재해예방 경보시스템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너울성 파랑은 먼 바다에서 생성된 주기가 긴 파랑이 연안으로 밀려오다 수심이 얕은 해안이나 방파제에서 증폭되는 현상으로 먼 바다에서 전파되어 오기 때문에 바람이 세게 불다가 잠잠해지는 날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사전에 인지하기 어려워 인명 피해가 더 많은 실정이다.


최근 지자체에서는 항만을 친수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방파제를 개방하고 있는 추세이나, 안전난간과 구조함 등의 안전시설물만으로는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너울성 파랑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어렵다.


해양경찰청에 의하면 최근 6년간 사망 19명, 실종 4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동해안에 집중적으로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안전한 해양공간 조성을 위해 2011년에 처음으로 주문진항 방파제에 자동경보시스템을 설치하여 1년 간의 시범운영과 성능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올해 속초항과 삼척항에 확대 설치하였다.


이 시스템은 첨단 영상분석기술을 이용하여 방파제의 월파*를 CCTV로 관측하는 관측시스템과 기상예보자료로부터 수치모델을 통해 월파를 예측하는 예측시스템과 전광판, 싸이렌 등의 경보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 월파 : 방파제 등의 시설물을 넘어오는 파도로, 방파제 인명과 시설물을 휩쓸어 직접적인 피해를 야기하며 항내에 정박한 선박을 파손시키기도 함


이 시스템은 주문진항의 시범운영 기간 중 유의단계의 경보에서는 74%, 위험단계의 경보에서는 89%의 정확성을 보였으며, 향후 속초항과 삼척항에 대한 시범운영 기간 중 경보발령을 위한 기준값의 설정과 경보예측 향상을 수행한 후 정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한글파일 130909(조간) 너울성 파도 경보시스템 구축(항만개발과).hwp
  • 정부, 후쿠시마 주변 8개 현(縣) ‘모든 수산물’ 수입 금지
  • 협업으로 해양전문인력 제대로 길러낸다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