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9월에 해양사고 최다, 특히 어선-상선 간 충돌 주의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8-27 조회수 : 1616

지난 5년간 통계를 분석한 결과, 해양 사고는 9월에 가장 많았으며, 그 중 인명피해 가능성이 큰 어선-상선간 충돌사고도 연중 최다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해양안전심판원(원장 윤학배)은 26일 ‘9월 해양사고예보’를 통해 이렇게 전하고 선박의 안전 운항을 당부하였다.


이에 따르면, 지난 5년간('08-'12년) 9월 중 해양사고는 평균 77건(101척, 인명피해 18명)이었고, 그 중 기관손상이 22건(28.6%), 충돌 17건(22.1%), 좌초 8건(10.4%), 추진기 작동장해 6건(7.8%) 등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 5년간 9월 중 전체 해양사고 : 387건(기관손상 108건, 충돌 86건, 좌초 39건, 추진기 작동장해 32건 등)
* 지난 5년간 어선-상선 간 충돌사고 : 총 352건(9월 43건, 6월 39건, 11월 34건 등)


좌초, 접촉사고도 전체 해양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각 10.1%, 3.1%), 연중 9월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특히, 화물선의 경우 정박 중 강풍 등에 닻이 끌려서, 어선과 예인선은 당직자가 졸다가 좌초된 사례가 많았다.

또한 예부선은 항해 중 강한 조류에 의해 선체가 의도되지 않은 방향으로 떠밀리다 인근 구조물에 부딪힌 사례가 두드러졌다.


* 지난 5년간 좌초사고 : 총 256건(9월 39건, 7월 30건, 8월 29건 등)

* 지난 5년간 접촉사고 : 총 91건(9월 12건, 8월 11건, 4월 및 5월 각 10건 등)


심판원은 충돌, 좌초, 접촉 등의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선박종사자가 다음 사항을 이행할 것을 요청했다.


ㅇ 어선-상선 간 충돌사고 예방을 위하여 상선은 어선(군)을 미리 피하고, 어선은 조업 중에도 주변 감시를 철저히 하여 비상 시에 대비하는 것이 필요


ㅇ 좌초사고 예방을 위해 화물선은 태풍 내습 시 안전한 곳에 정박하고, 어선?예인선은 항해 중 졸음 예방을 위하여 경보장치(Alarm)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ㅇ 아울러 접촉사고 예방을 위해 예부선은 조류 등 운항하는 해역의 특성을 미리 파악한 후 항해 할 것

 


심판원은 9월 안전운항 실천구호로 "상선은 어선(군)을 미리 피하고, 어선.예인선은 경보장치 등 활용하여 졸음운항 방지!"로 정하고, 선박종사자의 적극적인 이행을 당부했다.

한글파일 130826(조간) 9월 해양사고예보(중앙해심).hwp
  • 2017년까지 해양수산 분야 세계 선도기술 15개 확보
  • 협업 통해 기후변화·해양환경 감시 강화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