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아라온호, 북극해의 과거를 밝히다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8-13 조회수 : 1681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이용하여 북극해를 탐사?연구한 결과, 제4기 빙하기 시대에 동시베리아해에 존재하였던 빙상의 증거를 발견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그 동안 존재유무가 논란이 되어왔던 동시베리아해의 빙상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빙하기 북극해 기후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찾은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소장 김예동)이 연구개발과제 ‘양극해 환경변화 이해 및 활용연구(K-PORT)’를 수행하고 있는 홍종국 박사 연구팀과 남승일 박사가 독일 알프레드 베게너 극지연구소(AWI)의 프랑크 니쎈(Frank Niessen)박사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하고


‘서북극해 지구온난화 규명을 위한 노스윈드-멘델레프해령 해역의 고해양환경변화 정밀복원연구(K-Polar)’의 일환으로 수행한 국제공동탐사를 통하여 얻어졌다. 홍종국 박사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쳐 지오사이언스(nature geoscience)의 8월 11일 18시(영국시각)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제4기 빙하기에는 수차례의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되었는데, 북극해는 주변 대륙을 덮고 있는 빙상이 확장되어 북극해의 가장자리까지 덮었다고 믿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북미, 그린랜드, 러시아 서북부 해안에서 발견되었지만 러시아 동북부인 동시베리아해에서만 미발견 상태로 남아 있었다. 게다가 동시베리아해는 빙상이 없었다는 주장도 있어서 학계의 관심이 큰 지역이었다.


극지연구소 남승일 박사는 프랑크 니쎈 박사와 함께 2008년도 독일 쇄빙선 폴라스턴호을 이용하여 동 지역에서 획득한 예비 천부탄성파 탐사자료를 바탕으로 정밀조사 지역을 선정한 이후 2012년 8월 쇄빙선 아라온호를 이용하여 해저지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빙상이 해저면을 긁으면서 형성된 거대규모의 빙하침식 선형구조(mega-scale glacial lineations)를 발견하였다. 확인된 빙상은 그동안 북극해에서 발견된 빙상(800 미터~1,000 미터)보다 더 두꺼운 것(1,200 미터)이며, 수차례에 걸쳐 형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과거 빙하기 동안 북극해 연안 전체가 거대한 빙상으로 둘러싸여 있었음을 세계최초로 밝혀낼 수 있었다. 빙상은 태양빛 반사도(알비도)가 커서 대부분 태양에너지를 반사시켜 지표를 더욱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빙상의 분포는 빙하기 북극해의 기후를 정확하게 모델링하여 향후 기후변화 패턴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올 해 북극 이사회 옵서버 진출로 북극에 대한 과학연구 강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우리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를 통한 연구결과가 세계적인 논문에 게재되어 우리나라 위상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 밝혔다.

한글파일 130812(조간) 아라온호, 북극해의 과거를 밝히다(해양개발과).hwp
  • 어촌지역 주민은 무더위에도 열공 중
  • 휴가철 연안여객선 이용객수, 전년 대비 2% 증가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