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기후변화에 대응을 위한 ‘먼바다 기준 파도높이’ 재 산정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8-13 조회수 : 1738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풍의 강도가 세지는 등 연안지역의 피해가 더욱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최근의 해양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항만·해안시설물의 설계에 가장 기초가 되는 ‘먼 바다 기준 설계높이 재 산정’을 위해「전국 심해 설계파 산출 연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파랑의 높이 산정은 방파제, 항만과 같은 연안시설물의 계획, 설계, 시공 및 사후 유지 관리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요한 기초자료로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국은 보다 정확한 파랑의 정보를 얻기 위해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는 것이다.


* (중국) 시설물 개발계획 수립 후 국가인정기관에서 단기간 현장관측 및 수치모델에 의해 설계파를 산출
* (한국) ‘88년 및 ’05년 우리나라 전해역에 대해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등의 기상관측 및 장기파랑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설계파를 산출
* (미국) 미육군 공병대에서 실시간으로 전연안의 설계파 자료 제공


현재 우리나라의 항만 및 해안시설물 설계를 위한 먼 바다 기준 설계높이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산정한 ‘전해역 심해 설계파(‘05.12)*’를 기초로 하여 구조물의 정보를 생산하고 있다.


* ‘05년 설계파는 ’03년까지 지난 ‘50년 이후 태풍(128개)과 25년간 동계계절풍 자료자료를 분석·산출하였고, 기후변화는 미고려


그러나, 최근 대형 태풍의 발생 빈도와 외력이 강화*되어, 파괴적인 고파랑이 증가함에 따라 기후변화의 영향을 반영한 먼 바다의 기준 설계높이 재 산정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다.


* 매미(부산 ‘03.9), 나비(’05.9 부산), 무이파(‘11.8 제주), 볼라벤·덴빈(거제 홍도 ’12.8), 산바(여수 ‘12.9)

* 고파랑과 지속시간이 큰 대형으로 내습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무이파와 볼라벤은 지속시간이 10hr 정도로 태풍 10개가 연속적으로 내습한 효과임 

해수부 관계자는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먼 바다의 파랑 상태를 정밀하게 산출하고, 최근 축적된 관측자료*와의 비교 검증을 통해 정밀한 결과를 도출해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 (국립해양조사원) 6개 지점 종합해양관측Buoy,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
(기상청) 9개 외해 지점 기상관측Buo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1개 연안 및 외해 주요 지점


또한, 연구 결과는 전국의 항만 및 어항시설물의 설계 등 공학적으로 활용하고, 각종 연안 산업 활동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계획수립에 반영될 예정이라고 전하였다.

  • 적조 피해발생 전 어류방류 순조롭게 진행
  • 연근해 출현 백상아리로부터 국민 보호방안 수립 추진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