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규제를 기회로! 발상의 전환으로 창조경제 선도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7-31 조회수 : 1786

국제적인 규제를 새로운 시장창출 기회로 인식하여 지난 3년간 7700억원의 해외 수주를 달성한 분야가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일반인에게는 생소한 선박평형수(배에 화물이 없을 때 배의 균형을 잡기 위해 채우는 물) 시장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그 동안, 연간 50억톤 이상의 바닷물과 약 7천종의 해양생물이 선박평형수와 함께 전 세계로 이동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시켜 왔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가 2004년에 채택한「평형수관리협약」이 2014년 말에 협약이 발효될 예정으로


장차 전 세계 68,000여척의 선박이 의무적으로 평형수 처리설비를 설치해야 하며, 그 시장은 80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이러한 국제규제를 새로운 시장창출의 기회로 보고 그동안 관련 업계에 R&D예산과 홍보 등을 지원해 왔다.


그 결과 최근 3년간 국제시장의 약 54%(871척 수주)를 선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개발업체들은 중소기업이 대부분이어서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리라고 낙관하기는 이르다. 협약이 본격적으로 개시될 경우 평형수 처리설비 시장에서 외국의 대형기업과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할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정부지원정책을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전 세계 개발제품의 특·장점을 비교 설명하는 민관합동마케팅을 국내외에서 전개하여 국산 브랜드를 홍보하고,


평형수협회와 공동으로 우리나라의 앞선 기술을 국제 표준화함으로써 외국기업와의 기술격차를 벌려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설비를 새로 설치할 때 선박소유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글로벌 AS망을 우선 구축하고, 설비의 성능에 관련된 모든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전 세계 선주들의 신뢰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마지막으로, 2017년까지 현행 국제협약보다 1,000배 강화된 차세대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기술개발 R&D에 120억원을 투입하여,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시장을 지속적으로 점유한다는 전략도 포함되어 있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정책추진을 통해 국제시장을 선점하고 '19년까지 해양 분야에 있어 약 10,000명 고용을 창출하여 창조경제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의 이러한 노력은 ‘중소기업이 경제의 주연으로 당당히 거듭나도록 노력하겠다는’는 박근혜 정부의 정책에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글파일 130730(석간) 선박평형수 처리설비 세계시장 선점방안(해사산업기술과).hwp
  • 태안, 유류 오염 사고 전 수준으로 해양환경 회복
  • 부산항, 동북아 선용품 공급의 메카로 육성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