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남극 생물 이용하여 대량 항생제 개발 기초 마련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7-24 조회수 : 1798

의학, 농업 분야 등에 사용할 수 있는 대량 항생제 개발에 새로운 길이 열리게 되었다.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새로운 항생제 및 항암제를 생산할 수 있는 남극유래 방선균*의 유전체 지도를 국내 최초로 완성했다고 밝혔다.


 * 방선균 : 미생물의 한 종류로서 난분해성유기물의 분해나 항생제와 같은 다양하고 유용한 이차대사산물의 주요 생산자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가 지원하고, 극지연구소가 주관한 ‘극지 생물 기능유전체 연구’의 일부로 진행된 것이었다.


연구에는 극지연구소 박현 박사팀의 주도하에 선문대학교 오태진 교수팀과 국내바이오벤처기업 디엔에이링크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미국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과학전문학술지인 ‘PLOS ONE*’에 7월 24일 발표되었다.


 * 논문 제목 : Advantages of single-molecule real-time sequencing in high-GC content genomes (URL: http://dx.plos.org/10.1371/journal.pone.0068824)


특히, 이번 연구결과는 ‘실시간 단일분자 분석 기술’(Single Molecule Real Time detection, SMRT)을 이용하여 세계 두 번째로 유전자서열을 분석한 것이어서 더욱 의미가 있다.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졌던 기존의 유전자분석 기술과는 달리, 높은 시간적 효율성과 저비용이 장점인 SMRT 기술을 적용하여 방선균 유전체 지도를 완성한 것이다.


방선균은 의약분야에서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생물질의 75%, 농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항생물질의 60%가량을 생산하는 등 산업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남극유래 방선균의 유전체 지도는 다양한 이차대사물질, 특히 항생물질들의 생합성 관련 연구뿐만 아니라, 2세대 항생제의 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량항생제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이번에 사용한 기술은 남극유래 방선균을 비롯하여 앞으로 보다 많은 생물들의 유전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뿐만 아니라, 다방면의 방법론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원천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글파일 130724(조간) 남극 생물 이용하여 대량 항생제 개발 기초 마련(해양개발과).hwp
  • 해양사고 예방, 해양조사원이 앞장서다
  • 연근해어선 승선 외국인선원 근로여건 개선 대책 마련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