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엔저에도 불구, 주력 수산물 수출 호조세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7-22 조회수 : 1907

엔저현상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주요 수산물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에 따르면, 전체 수산물 수출액의 50%를 차지하는 주요 수출 품목인 참치(30%), 김(13%), 굴(4%), 넙치(3%)의 경우 ‘13년 6월까지 총 수출액이 514.8백만불로 전년대비 12.1% (459.3백만불)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품목별 수출액(6월 누계) : 참치(311백만불,) 김(129), 오징어(43), 굴(42), 넙치(33)


이러한 성과는 중화권, 미국 등으로 수출시장을 다변화한 것과 함께 생산과 품질의 꾸준한 관리를 통해 한국 수산물의 안전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고등어(△39.1%), 오징어(△38.9%)는 저수온 등의 영향으로 연근해 생산량이 전년에 비해 크게 줄면서 수출 또한 감소하였다.


생산량 감소에 따라 국내 공급에 집중하다보니, 수출 물량 확보가 어려워진 것이 그 원인으로 파악된다.


 * 5월 누계 생산량(전년 대비) : 고등어 23,409톤(37,120톤, △36.9%),오징어 115,728톤(100,539톤, △13.1%)

품목별 수출 동향과 전망을 보면,


(참치) 주요 소비시장인 일본의 내수 부진과 엔저 지속 등으로 전년대비 약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태국, 세네갈 등으로 통조림용으로 사용되는 가다랑어와 눈다랑어의 수출이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어, 하반기에는 수출이 보다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국가별 수출량(’13.6월 누계) : 일본(130백만불/ 41.9%), 태국 99백만불/ 31.9%), 중국(11백만불/ 3.4%)


(김) 주력 수출 대상국가인 일본의 김생산량 증가로 인한 수요 감소와 엔저에 의한 가격 하락으로 수출이 감소세에 있으나, 반면, 캐나다, 홍콩, 러시아 등으로의 수출되는 가공품(스낵 김 등)은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 김 생산량(전년대비 11.8%)이 증가한 것과 점차 늘어나는 해외 수요를 감안하면 하반기에는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굴) 안전성 문제로 비롯된 對美 수출 금지 조치가 해제(’13.2.11)되면서 냉동 굴, 조제 굴의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외 라이트박스 광고 및 버스를 활용한 해외 이미지 광고를 통해 홍콩, 말레이시아, 태국 등으로 수출 시장이 다변화되면서 건조 굴, 냉동 굴 등은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 국가별 수출량(‘13.6 누계) : 일본(21.5백만불, △3.8%), 홍콩(6.9, 459%),미국(6.7, 19.4%), 말레이시아(1.5, 133.9%)


(넙치) 일본의 검역 강화로 인해 활 넙치 수출물량은 감소하였으나, 활어 컨테이너를 활용한 미국, 중화권 수출 확대로 인해  전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등어) 어장 환경 변화와 기상 악화로 인한 국내 어획량 감소(전년대비 △36.9%)로 물량 확보가 어려워 수출이 감소세이나, 연간 총생산량의 70%를 어획하는 주 조업시기인 하반기가 도래하면 수출은 다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오징어) 저수온으로 어장 형성이 지연되면서 어획이 부진(전년대비 △13.1%)하고, 유럽의 불경기로 인해 가공 오징어 수출이 대폭 감소하였으나, 하반기에는 바이어 초청, 판촉행사 등 마케팅 활동에 주력하여  對中, 對日 수출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역) 동일본 원전 사고 이후 지난 해에는 국산 미역의 수요가  급증하였으나, 올해는 일본 현지 미역 생산과 재고 증가로 수출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중국(가공원료용

한글파일 130722(조간) 엔저에도 불구, 주력 수산물 수출 호조세(통상무역협력과).hwp
  • 해수부, 2017년까지 어선사고·불법어업 각각 30% 감축
  • 제21차 아·태지역 항만국통제관 세미나 개최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