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Golden Seed 프로젝트』수행 연구기관 확정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7-17 조회수 : 1849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이하 관계부처)는 7월 16일 글로벌 종자 강국 실현을 목표로 하는 'Golden Seed 프로젝트(이하 ‘GSP’)'를 수행할 연구기관을 최종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5개 사업단에서 99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공고(5.28∼6.27)한 결과 59개 업체 및 기관이 신청하였으며,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의 서면 및 공개발표 심사(7.2∼7.12)를 거쳐 최종적으로 49개 연구기관을 선정하였다.


 * GSP사업 : 향후 10년간(‘12∼’21) 금보다 비싼(Golden Seed) 수출전략형 종자 등을 개발하여 2020년에 종자 수출 2억 달러, 2030년에 30억 달러 수출 달성을 목표로 추진하는 프로젝트(총예산 4,911억원/‘13년도 예산규모 350억원)


선정된 연구기관을 유형별로 보면 ‘농우바이오’ 등 민간 업체가 19개 선정되었으며 ‘충남대학교’ 등 18개의 대학과 ‘국립식량과학원‘ 등 8개의 국공립 연구소 등으로 나타났다.


금번에 선정된 프로젝트 연구기관은 5개 사업단별로 해당 품목의 종자개발 관련 연구를 수행해 나갈 주체로서,


 * (채소종자) 배추, 무, 고추, 파프리카, 수박, (원예종자) 양배추, 토마토, 양파, 감귤, 백합, 버섯 (수산종자) 넙치, 바리과, 전복, 김 (식량종자) 벼, 감자, 옥수수 (종축) 돼지, 닭


7월 17일부터 사업단장과 프로젝트 협약을 추진하고 프로젝트별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함으로써 글로벌 종자 강국 실현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을 내딛게 된다.


선정된 연구기관은 GSP 사업의 1단계('13~'16)기간 동안 연구개발을 수행하게 되며, 연차별 평가 등을 통하여 실적이 우수할 경우 2단계(‘17~’21)까지 연구수행이 가능하다.


관계부처 관계자는 "공정하고 투명한 공모 절차를 통해 우수한 인력과 열정을 가진 최적의 연구기관이 선정되어, Golden Seed 프로젝트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기대한다" 며,  "본 사업이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과제 추진을 적극 지원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글파일 130718(조간) 골든씨드프로젝트 선정결과 발표(양식산업과, 농림부).hwp
  • 해수부, 선박 충돌사고 대비 모의훈련 실시
  • 민간투자 유치를 통해 동북아 해양관광레저특구로 조성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