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한국 항만 배우러 왔어요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6-10 조회수 : 1947

"한국의 자동화된 컨테이너 하역시스템은 마치 게임을 보는 것 같았어요. 부산북항의 재개발이 끝나면 꼭 다시 와 보고 싶습니다." (Mr. Dennis(가명), 가나 항만청, 2012년 5월 교육연수생)


전 세계 개도국의 한국 항만을 배우기 위한 열정이 뜨겁다. 지난 4월 미얀마 교통부 장관, 하원의장 등이 방한한데 이어, 이번에는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의 11개국, 21명의 항만정책 담당자가 한국의 항만을 배우러 부산을 찾았다.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후원을 받아 한국해양대학교에서 6월 한 달간 글로벌 해운항만 정책 전문가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해양수산부는 투르크메니스탄(‘09)을 시작으로, 아프리카의 콩고민주공화국(’11), 가나(‘12)의 공무원들에게 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본 교육과정은 항만개발, 항만운영, 해운정책, 그린포트 등 이론 강의를 비롯하여, 부산항, 울산항 등 항만 및 조선소, 제철소, 자동차 공장 등 산업 현장 방문을 통해 이론과 현장이 겸비한 교육으로 진행된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은 본 과정에 참가한 개도국의 항만 담당자가 자국 항만의 문제점을 발표?공유하고, 교육과정을 통해 개선점을 찾아가는데 의미가 있다.


이 과정에서 해양수산부는 한국의 항만 개발 경험을 공유하고,  한국의 항만정책을 소개할 계획이다.


또한, 현재 추진 중인 해외항만개발협력사업과 연계해 개도국에 대한 지원방안도 함께 모색할 계획이다. 필요한 경우 항만마스터플랜 수립이나 항만개발 타당성 조사(Feasibility Study) 등을 제공하는 등 지속적인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본 교육 과정은 개도국들의 관심과 수요가 매우 많아 우리나라의 이미지 제고에도 톡톡히 역할을 하고 있어 향후 해당국가에서 개발사업 등을 발주하면 우리 기업의 수주활동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수산부는 본 과정을 통해 구축된 개도국과의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가는 한편, 관계기관과 협력해 이러한 연수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한글파일 130607(조간) 한국 항만 배우러 왔어요(항만투자협력과).hwp
  • 내년 전국해양스포츠제전 개최지로 울주군 선정
  • 지방(地)과 중앙(中)이 하나 되어 바다(海)로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