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해양바이오산업, 연간 4조원대 산업화 시장창출 육성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7-09 조회수 : 2026

미래 핵심성장동력인 해양바이오산업의 창조적 육성전략 마련을 위해 국내 산·학·연·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7월 9일(화)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차세대 해양바이오산업 창조적 육성전략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해양수산부 윤진숙 장관을 비롯,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태광 원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강정극 원장, 부경대 최태진 교수, (주)에코파이코텍 김미경 대표이사 등 그동안 해양생명공학산업을 이끌어온 산·학·연·관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2024년까지 10년간의 해양생명공학산업 육성전략을 창조적 관점에서 수립하기 위한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해양바이오 산업계 대표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실물경제 활성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연구개발방향과 정책지원에 관한 건의사항을 듣는 자리가 마련된다.


해양바이오산업은 미래 핵심성장동력으로 꼽히는 분야로, 창조적 연구개발을 통한 산업육성은 이번 정부의 중요한 국정과제 중 하나다.


해양생물은 지구상 생물종의 약 80%에 해당하는 약 50만종의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이 가운데 유용생물자원으로 개발되고 있는 것이 1%미만으로 개발 잠재력이 매우 높다.


특히, 해양바이오산업은 ‘해양’이라는 극한 환경을 극복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기술수준이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가 얼마나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느냐에 따라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가능한 영역이다.


해양수산부는 2004년 ‘Marine Bio 21’사업을 시작으로 지난 10년간 해양생명공학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그간 유전체 연구, 천연물 신약연구, 신소재 개발, 바이오에너지 생산 등의 분야에서 많은 성과를 창출하였다.


해양생명자원 15,000 여종 10만 여점 확보, 홍합 이용 의료용 생체접착제, 바이오 디젤 및 수소 생산기술, DNA 중합효소, 당뇨·동맥경화·감염성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등이 주요 성과이다.


해양수산부에서는 그간 성과를 바탕으로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선점을 위해 향후 10년간의 마스터 플랜인 「차세대 해양생명공학 추진전략(’14~’23)」을 수립하고 있으며,


선진국 대비 90%의 기술수준(’11년 69.5%), 시장규모 4조원,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점유율 5.0%(’12년 2.0%) 취업유발 1만명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윤진숙 장관은 "해양생명공학산업은 미래 핵심 성장동력산업으로, R&D 지원 확대, 전문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 등 가능한 모든 역량을 결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글파일 130709(조간) 해양바이오산업 연간 4조원대 시장 육성(해양생태과).hwp
  • 일선수협 경영개선으로 자립성장 기반 마련
  • 해양수산부, 한국농어촌공사와 업무협력 MOU 체결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