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어항 설계기준 개정을 통해 효율적인 어항개발 추진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7-01 조회수 : 1978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최근 어선 선형 및 어항 이용실태 변화 등 어항의 수요 변화를 반영한 어항 설계기준* 개정안을 마련하여 28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어항설계는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2005, 해양수산부)에 따라 이루어 졌으나 최근 어항 여건 변화에 따라 설계기준의 개정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전국 어선 통계분석과 어항이용 실태조사 등을 통해 현실에 맞는 새로운 어선 표준선형을 도출하고 이용자 편의성, 안전성,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어항 설계기준을 개정하였다.


금번 개정된 어항 설계기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선형이 서로 상이한 일반 어선과 양식 어선을 구분하여 전국 어선의 선형 통계를 분석하여 각각의 표준선형을 도출했다.


② 어선 계류시설의 소요규모 산정 시 어선간의 충돌 방지, 승·하선 및 입출항 등 이용자의 안전 및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휴식부두 및 대피부두의 표준 접안 형태를 제시하였다.


③ 어선용 박지* 소요규모에 대해서는 휴식용 박지 및 대피용 박지의 횡접안 시 소요규모 산정기준을 추가하였다.


 * 박지(泊地) : 항내나 항외에 각종 선박이 정박 대기하거나 수리 및 하역을 할 수 있는 수면


④ 최근 어항 이용자의 수요를 반영하기 위하여 항내 수질개선, 해양환경복원, 어획물의 선도 유지 및 위생 안전 확보를 위한 설계기준도 일부 신설하여 향후 어항 설계에 반영할 수 있게 했다.


해수부는 이번 설계기준 개정과 함께 최근 발생하고 있는 슈퍼태풍 등으로부터 어항시설물의 안전을 확보하고 어항 이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어항시설물 안전점검 및 안전시설 설계 업무처리 매뉴얼’을 마련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번 어항 설계기준 개정과 안전업무 매뉴얼 마련을 계기로 어항 이용자의 편의성과 어항시설의 안전성이 제고되고 궁극적으로는 어항이 어촌지역 발전을 견인하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글파일 130628(조간) 어항 설계기준 개정을 통해 효율적인 어항개발 추진(어촌어항과).hwp
  • 5월 전국 항만물동량 전년 동월 대비 5.3% 감소
  • 서아프리카 해적, 꼭꼭 숨어라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