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수산자원 주권확보 위한 ‘新 자산어보 프로젝트’ 추진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6-26 조회수 : 1788

수산생명자원의 주권의 확보를 통해 수산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한 ‘신(新)자산어보 프로젝트’ 전략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수산업의 성장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수산생명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추진하는 동 사업의 공청회를 오는 6월 25일 오후 2시 부산 벡스코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신 자산어보 프로젝트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7년간 4,200억 원을 투입하는 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지속가능한 수산생명자원 관리체계 구축 ▲고부가가치 생산시스템 개발 ▲안전한 수산 환경 기반조성 등 3대 중점 추진분야의 6개 전략사업, 13개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40여 명의 산·학·연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 수산경쟁력은 30개 주요 수산 국가 중 14위로 기술경쟁력과 시장경쟁력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또한, 수산분야에 대한 정부의 연구개발(R&D)투자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정부 전체 R&D의 0.7%)하였다.


이로 인해 체계적인 수산 R&D 추진전략 마련과 함께 선택과 집중을 통한 투자방향 설정 등의 필요성이 지적돼 왔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200년 전, 정약전 선생의 저서『자산어보(玆山魚譜)』를 승계해 우리나라 수산업의 재도약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중장기 사업으로 "신 자산어보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우리 수산업의 미래는 본 프로젝트의 성공여부에 달려 있다"며,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계획(안)을 수정·보완하고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조 체제를 구축해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정보통신기술과 수산기술의 융합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과 함께,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 확보로 수산 경쟁력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글파일 130625(석간) 新 자산어보 프로젝트 추진(자원관리과).hwp
  • 2013년 어기 한·일 어업협상 타결
  • 평택·당진항 글로벌 기업 유치로 부가가치 창출에 박차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