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2013년 어업기간 한·일 어업협상 난항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527 조회수 : 2167

해양수산부는 5월 21일~23일(3일간) 2013년 어기(2013.7.1~2014.6.30) 한·일 입어협상 제2차 소위원회를 부산에서 개최하였다.


 * 한국측 수석대표 라인철 어업자원정책관, 일본측 수석대표 스도 토쿠유키 자원관리부장


지난 4월말 일본 동경에서 개최된 제1차 소위원회에서 양측은 각각 자국 어선의 조업조건은 완화하고, 상대국 어선의 조업조건을 강화하는 제안을 하였다. 금번 소위원회에서 양국의 입장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체적인 협의를 하였다.


그러나 양국은 각각 자국의 관심사항은 관철하려고 하는 반면, 상대방 관심사항은 수용하지 않아 양국의 입장 차이는 해소되지 못하였다.


입어규모에 대해 우리측은 총허가척수 및 총어획할당량에 대하여 현행유지(860척/60,000톤)를 제안한 반면, 일측은 전년 기준 각각 25% 삭감 주장


우리측 최대 관심사항인 GPS 실시에 대해 철폐를 요청한 반면, 일측은 예정대로 2014년 3월 1일부터 본격실시 하겠다고 강조


갈치 할당량에 대해 우리측은 조업채산성 유지를 위해 증대되어야 한다고 강조한 반면, 일측은 자원감소, 조업트러블 발생 등을 이유로 상당한 수준의 삭감 및 갈치조업 어장 축소를 관철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매우 강했다.


조업조건에 대해 우리측은 연승 등 주력업종의 조업조건 개선 및 일측의 주력업종인 대중형선망 등 조업조건을 강화할 강조했으며, 이에 대해 일측은 자원상태 악화, 조업분쟁 및 불법조업 지속 발생 등을 이유로 우리 연승 등 주력업종의 조업조건을 현재보다 강화하여야 한다고 설명


이와 같이 두 차례에 걸친 어업협상에서 양국의 입장은 전혀 좁혀지지 않았으나 협상시한인 6월에 예정된 3차 소위원회에서 적극 협의하여 타결을 위해 노력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3차 소위원회에서도 일측이 계속 조업조건 강화를 요구할 경우 협상타결에 어려움이 예상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한글파일 130527(조간) 2013년 어업기간 한일 어업협상 난항(지도교섭과).hwp
  • [동정] 윤진숙 장관, 휴일 조업상황 점검
  • 양식어장 재개발 규제 완화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