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2013년도 한·러 어업협상 타결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520 조회수 : 2140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2차 한·러 어업위원회 4차 회의(5. 14 ∼ 16. 3일간)에서 2013년 우리나라 원양어선이 러시아수역(EEZ)에서 조업할 수 있는 조업쿼터 등의 협상이 타결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에서 정복철 국제원양정책관이, 러시아는 카르프만(Karpman) 수산청 어업국 부국장이 대표로 참석하였다.


명태는 먼저 20,500톤을 배정하고, 우리나라 항만국 검색을 강화하는 원양산업발전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2주내 회의를 개최하여 19,500톤을 추가 배정(입어료 지불조건 등 협의)하기로 했으며,


대구 4,450톤, 꽁치 7,500톤, 오징어 8,000톤, 기타(가오리, 청어, 복어) 1,515톤의 쿼터로 전년과 같은 수준으로 배정하기로 하였다.


2013년도 러시아수역 조업쿼터 등 입어협상은 2012년 11월 제22차 한?러 어업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타결할 예정이었으나,


러시아산 게 불법교역 방지 및 국제수산물교역센터 설립문제 등에 대한 양국의 입장차이로 금년 2월, 4월, 5월 등 3차례의 추가회의를 거쳐 이번에 타결되었다.


 * 러시아 수역 조업예정 어선은 명태트롤어선 6척, 대구저연승어선 2척, 꽁치봉수망어선 15척, 오징어채낚기어선 108척 등 4개 업종 131척이다.


입어료는 톤당 대구는 385$로 전년수준을 유지하고, 명태는 336$→341$(1.5%), 꽁치는 101$→106$(5.0%), 오징어는 96$→103$(7.3%)로 소폭 인상하는데 합의하였다. 


또한 양국은 그간 쟁점이 되어왔던 러시아산 게 불법교역 방지는 원양산업발전법 개정을 통해 하역단계에서 원산지 증명 등 항만국 통제를 강화하기로 하였으며


국제수산물교역센터 설립문제는 별도 양국 정부의 실무자 회의를 열어 논의키로 하였다고 밝혔다.

한글파일 130518(조간) 2013년도 한러 어업협상 타결(원양산업과).hwp
  • 아빠 어디가? 봉사활동 수기 쓰고 독도 등대 놀러가!
  • 대한민국 해양영토대장정 실시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