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기후변화에 대비한 정비사업으로 더 안전하게 어항을 이용한다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510 조회수 : 2306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태풍 등 자연재해로부터 어항시설의 피해 예방을 위해 '10년부터 지난 3년간 시행한 82개 국가어항에 대한 설계파 검토 및 안전성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설계파 재검토 결과 총 82개 국가어항 중 49개항의 설계파고가 증가하였고, 이중 가거도항은 최대 3.7m가 증가하였다.


설계파 증가 원인은 2000년도 이후 태풍 매미, 무이파, 볼라벤 등 지속적인 대형태풍 내습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방파제 등 외곽시설물 안전성평가 결과 총 82개항 192개 시설 중 보수·보강이 필요한 시설은 56개항 90개소(21,313m)로 검토되었으며, 총 보수·보강비용은 약 6,684억 원으로 추정됐다.


보수·보강은 기존 방파제가 강력해진 태풍에 견딜수 있도록 외측의 TTP 등 피복재 규모를 키우고 더 높일 계획이다


또한, 어선의 안전한 정박을 위해 기상악화시 항내파고가 높은 총 27개 국가어항은 정온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약 3,131억 원으로 추정됐다.


해양수산부는 보수·보강이 시급한 항에 대하여는 조기에 정비사업을 착수하는 등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시설물 안전성 평가결과 보수·보강이 필요한 56개 항 중 현재 공사 중인 7개 어항에 대하여는 설계변경을 통해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예산낭비를 최소화하고,


정비계획에 이미 반영된 10개 항은 계획에 따라 정비사업을 차질 없이 시행하고, 미 반영 39개 항은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예산을 확보해 적기에 시설물의 보수·보강을 실시할 계획이다.


 * 올해 국가시행 어항정비사업은 최근 대규모 태풍피해가 발생한 가거도항을 포함하여 31개항 904억원으로서 전년대비 12개항 297억원이 증액된 수준이며, 어업인들이 어항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신규시설물 설치가 필요한 항내정온도 개선은 기존시설물 보수·보강 우선 추진 후 시행하나, 여건변화에 따라 종합적인 정비사업 필요시 동 정비계획에 포함하여 검토할 계획이다.


앞으로, 어항시설의 보수·보강 및 정온도 개선이 완료되면 기후변화에 따른 어항시설 피해 최소화는 물론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데 이바지하고, 피해복구로 인한 사회적 손실비용 감소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글파일 130510(조간) 기후변화에 대비한 정비사업으로 더 안전하게 어항 이용(어촌어항과).hw
  • 태풍·적조로 고통 받는 어업인들 시름 덜 길 열려
  • 해수부, 그린피스와 불법 원양어업 근절에 함께 나서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