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푸른바다거북 '광복이'와 '애월이' 국립해양박물관에 새 보금자리 마련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515 조회수 : 2626

국립해양박물관(관장 박상범)은 2009년과 2010년 각각 제주도 연안에서 구조되어 국립수산과학원 미래양식연구센터에서 치료 후 연구용으로 활용되던 바다거북 2마리를 5월 13일 센터측으로부터 이관 받았다고 밝혔다.


이관받은 바다거북은 제주에서 선박을 통해 부산으로 들어오며, 5월 15일 입수식을 거쳐 국립해양박물관 내 수족관에서 일반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에 국립해양박물관으로 이관되는 거북 2마리는 모두 푸른바다거북(Green sea turtle, Chelonia mydas)이다.


이 중 '광복이'는 2010년 8월 15일 서귀포시 성산읍 해상에서 낚시어구에 혼획된 것을 미래양식연구센터가 낚시바늘 제거수술을 해 구조했다.


'애월이'는 2009년 8월 10일 제주시 애월읍의 정치망에서 발견된 후 미래양식연구센터에서 보호하면서 생태연구에 활용하고 있었다.


국립해양박물관은 국내 박물관으로서는 유일하게 지난 2월 12일 당시 국토해양부로부터 해양생물보전을 위한 ‘서식지외보전기관’으로 지정받았는데, 이번에 바다거북 2마리를 확보하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거북의 생태조사와 증식, 학술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립해양박물관은 2008년부터 바다거북에 대한 연구를 수행중인 국립수산과학원과 바다거북의 생태·생리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한다.


또한 작년 7월 개관한 이래 현재 140여만 명의 관람객들이 다녀간 박물관에서 보호해야 할 해양생물을 널리 알리는 역할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번 바다거북 이관을 시작으로 국립해양박물관은 국립수산과학원 미래양식연구센터와 푸른바다거북을 포함한 바다거북, 해마류, 관상생물 등의 생태 및 생리연구, 증식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한 업무협약식을 5월 15일 해양박물관 대회의실에서 갖는다.


국립해양박물관 박상범관장은 "이번 바다거북 2마리의 이관을 시작으로 보호대상인 해마까지 증식과 학술용으로 확보하여 인공증식 및 생태?생리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며, 국립수산과학원을 비롯한 국내외 연구기관과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해양생물 보호를 위한 대국민 인식증진활동에 앞장 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글파일 130515(조간) 푸른바다거북 새 보금자리 마련(해양박물관).hwp
  • 1분기 해적활동 크게 줄어
  • 엔저 대비, 수산물 수출 확대 위해 해외바이어 초청 상담회 실시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