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떠오르는 흑해, 조지아(Georgia)에 우리 해운물류기업의 진출길 활짝 열린다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514 조회수 : 2302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5월14~16일 한국(서울, 부산)에서 한-  조지아간 해운협정 체결을 위한 해운회담, 우리기업의 조지아  진출 투자세미나, 조지아 해기사의 국내 선사채용 설명회 등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흑해에 인접한 조지아는 카스피해의 원유, 가스 등 주요 에너지 자원의 수송루트로 물동량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 곳으로 우리에게 그루지아로 알려진 나라이다.


정부는 이러한 조지아와 다각적인 해운물류협력사업 추진을 통해 흑해를 거점으로 한 우리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 조지아는 TRACECA(Transport Corridor Europe-Caucasus-Asia)의 중심지로 흑해, 카스피해 연안국과 EU를 연결하는 복합물류회랑을 통해 교역증대 추진 중


이번 조지아 대표단의 방한기간 중 개최되는 한-조지아 해운회담(5.14, 서울)에서 양국은 자유로운 해상운송, 항만내에서 동일한 대우 등 해상운송 협력을 촉진하는 해운협정안을 최종 합의하고 연내 양국간 해운협정을 체결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에는 해양수산부 전기정 해운물류국장과 조지아 해사청의 마무카(Mamuka Akahaladze) 해사청장이 수석대표로 참가한다.

또한, 조지아에 우리기업의 투자유치를 촉진하기 위하여 조지아 투자청에서 조지아의 투자여건 및 인센티브, 유망사업 등에 대해  발표하는 투자세미나도 개최(5.14, 대한상공회의소)된다.


이와 관련, 해양수산부는 흑해지역 진출에 관심이 높은 국내 해운물류기업 등을 대상으로 사업 타당성조사, 컨설팅 지원 및 조지아 정부와 공동으로 협력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조지아는 한국의 경제성장을 역할 모델(Role Model)로 삼고 있으며, 최근 대폭적인 규제를 완화하고 우리기업의 투자, 진출을 적극 희망

 ** 조지아는 ‘13년세계은행(WB)에서 평가한 기업하기 좋은 나라(Ease of doing business) 부문에서 185개 국가 중 9위 차지


더불어, 국내 해기인력 부족의 어려움 해결을 위해 국내선사 및 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 관계자를 대상으로 조지아 해기인력채용 설명회(5.16, 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도 개최된다. 


조지아는 자국 해양대에서 배출되는 매년 약 200여명의 해기인력 취업에 애로를 겪고 있고, 우리선사도 동남아에 의존하고 있는 외국인 해기인력 수급다변화 등을 위해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조지아 해기인력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그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또한, 조지아 흑해지역 선박입출항 증가에 따라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선박수리사업에 대한 한국의 투자?진출을 위한 설명회도 개최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는 이번 협력행사가 우리 해운물류기업의 흑해지역 진출에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조지아 정부에서도 양국간 해운물류협력사업, 해기사 취업 등을 적극 지원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도 우리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으나 시장개척이 쉽지 않은 지역에 대해 정부간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 해운물류기업의 해외진출 기반을 확대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한글파일 130514(조간) 조지아에 해운물류기업 진출길 활짝(해운정책과).hwp
  • 산란기 불법어업 정부합동 단속
  • 해수부, 해운·물류·항만분야 기업의 해외투자 지원 나서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