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공지사항
보도자료

해양환경 보전 위해 민ㆍ관이 뭉쳤다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429 조회수 : 2338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해양쓰레기 관리 성과를 공유하고 일선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4월 25일부터 이틀간 천안 상록리조트에서 ‘해양쓰레기 관리정책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는 해양수산부, 환경부, 해양경찰청, 지자체 등의 공무원과 해양환경관리공단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한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해양쓰레기는 연간 15만9800톤으로, 육상기인 쓰레기는 10만9400톤, 해상기인 쓰레기는 5만400톤으로 추정되는데,


 집중호우·태풍 등으로 하천과 강을 통해 유입되는 목재, 초목류, 폐합성수지, 폐타이어 등과 어업활동 등으로 발생하는 폐어망, 로프, 폐스티로폼 등이 주를 이룬다.


 해양쓰레기가 침적되면 해양환경과 해양생태계를 파괴하고 수산자원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해양의 심미적 가치도 훼손시켜 결국에는 국민생활 전반에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쓰레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2008년에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경찰청과 공동으로「제1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09∼'13)」을 수립하고 연평균 8만5000여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ㆍ처리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그간 추진해온 해양쓰레기 수거사업, 하천 및 하구쓰레기 정화사업, 어선생활쓰레기 되가져오기 운동 등의 성과를 점검하고 현장업무 담당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안들이 논의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워크숍에서 나온 의견들을 적극 반영해 올해 말까지「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14∼'18)을 수립할 계획"이라며 "국민들이 삶을 영위하고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깨끗한 바다를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글파일 130425(조간)_해양환경_보전_위해_민관이_뭉쳤다(해양보전과).hwp
  • 해수부, 신개념 예인줄 기술개발 착수
  • 5월, 항해 시 경계시야 확보 주변경계 철저!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