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료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1. 홈
  2. 자료실
  3. 용어사전

총 422건

용어사전

- 연안포털에 있는 용어들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검색리스트 용어설명
묘박(錨泊 / 정박) 선박이 해상에서 닻을 내리고 운항을 정지하는 것
무광층(無光層) 빛이 도달하지 않은 수층
무산소상태(無酸素狀態) 물에는 언제나 어떤 범위의 양인 용존산소가 있음. 이것은 수산동물의 호흡에 따라 감소하지만, 식물의 동화작용, 물의 유동이나 공기로부터 공급되어 어떤 범위 안에서의 증감은 있지만 거의 평형을 유지함. 그러나 계절에 따라 많은 플랑크톤이 죽어 이들 유기물의 부패, 분해가 일어나면 많은 산소가 소비되어 저층에는 무산소층이 생기는 경우가 있음
무역풍(貿易風 / Trade winds) 적도지방의 동풍대
무풍대(無風帶 / Doldrums) 바람이 약한 지역
무해통항권 외국 선박이 연안국의 평화, 공공질서 또는 안전을 해하지 않는 한 영해를 자유로이 항행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함. 그러나 예외적으로 연안국이 항로대(航路帶)를 지정하거나 분리통항(分離通航) 방식을 설정하여 이를 이용하도록 요구할 수 있음. 원칙적으로 연안국이거나 내륙국이거나 관계없이 모든 국가의 선박, 즉 어선, 정부 선박, 특수 선박, 잠수함은 무해통항권을 갖음. 단, 잠수함은 수면 위로 국기를 게양하고 항행을 해야 함.
물류(物流 / Logistics, Physical distribution)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의 준말. 현재는 통상 Logistics와 동일 의미로 사용. 재화가 공급자로부터 조달·생산되어 수요자에게 전달되거나 소비자로부터 회수되어 폐기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운송·보관·하역 등과 이에 부가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가공·조립·분류·수리·포장·상표부착·판매·정보통신 등을 의미
물류단지(物流團地) 물류터미널·공동집배송센터·대규모점포·전문상가 등의 “물류단지시설”과 정보·금융·종사자 편의시설 등의 “지원시설”을 집단적으로 설치·육성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장관 또는 관할 시·도지사가 지정·개발하기 위한 일단의 토지
물류에너지목표관리제 100대 이상의 화물차 보유 물류기업 또는 연간 물동량 3천만톤-km 이상인 화주기업과 자발적 협약을 체결하여 톤-km 기준 수송실적 대비 에너지 원단위 방식으로 물류에너지 절약목표를 설정·관리하는 제도
물양장(物揚場) 전면 수심이 보통 4~5m이내인, 1천톤급 미만의 소형선박이 접안하는 간이부두. 주로 어선·부선 등이 접안하여 하역을 함
  • 처음
  •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다음
  • 끝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