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관리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모니터링 영상
  1. 홈
  2. 연안관리
  3. 연안침식
  4. 연안침식 소개

연안침식이란

연안침식의 정의
"연안침식"이란 파도, 조류, 해류, 바람, 해수면 상승, 시설물 설치 등의 영향에 의하여 연안의 지표가 깎이거나 모래 등이 유실되는 현상을 말한다.

동해안의 아름다운 백사장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뿐만 아니다. 해안가 주택에 균열이 가고 해안 도로가 붕괴된다. 해안 침식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해안 침식은 왜 발생하는 것일까?
해수면 상승과 지구 온난화가 해안 침식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무엇보다 무분별한 개발이 해안 침식을 유발하는 큰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도시화에 따른 육상에서의 모래 공급 격감과 골재 자원 확보를 위한 해사 채취, 그리고 모래의 흐름을 교란시키는 인공 구조물 설치가 그 원인이라는 것이다.

근거법령
연안관리법 제5조 제3항
연안침식 원인 및 종류

연안침식은 그 원인에 따라 크게 장시간에 걸쳐 낮은 강도로 침식이 발생하는 자연현상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는 자연적 연안침식과 특정 구조물의 설치등으로 인해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인위적 연안침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안침식은 자연현상과 연안의 무분별한 개발을 원인으로 말할 수 있지만, 원인이 지역별로 상이하여 획일적인 원인 규명과 대응이 곤란한 특성이 있어 국내외 적으로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자연적 연안침식
  • 기후변화로 인한 침식

    기후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면 해안선이 육지방향으로 후퇴하는 침식이 발생한다. 특히 지구온난화는 해수면의 상승뿐만 아니라 수온도 함께 상승시켜 태풍의 세력을 강화시키며, 이로 인한 파력(파도의 상하 운동 에너지) 및 파고(파의 골에서 마루까지의 높이)의 증가로 연안침식이 급격히 진행될 수 있다.

  • 지형적 요인에 따른 침식

    파랑(수면과 접하는 대기의 혼란에 의해 발생하는 바다 또는 호수에서 일어나는 수면파)은 연안으로 진입하면서 일반적으로 곶(바다로 돌출한 육지)을 향해 굴절되는데 곶 전면에 파랑에너지가 집중하여 이로 인해 곶 전면은 침식되고 곶 주변에는 퇴적이 발생한다. 또한 지형적 특성에 따라 백사장 침식, 사구 포락, 토사 포락, 호안 붕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파랑에너지
  • 파랑에너지

파랑에너지

백사장 침식, 사구 포락, 토사 포락
  • 백사장 침식, 사구 포락, 토사 포락
  • 백사장 침식, 사구 포락, 토사 포락

백사장 침식, 사구 포락, 토사 포락

인위적 연안침식
  • 연안돌출구조물에 의한 침식

    모래의 이동이 많은 연안에 설치된 방파제와 같은 돌출구조물은 모래의 이동을 차단하여 구조물 인접 상류에는 퇴적이 발생하고 하류에는 침식이 발생하게 된다

    • 구조물 설치 전·후
    • 구조물 설치 전·후

    구조물 설치 전·후

  • 이안제에 의한 침식

    이안제는 해변에 작용하는 파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해안선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구조물로써 주로 해수면 아래에 수중방파제의 형태이며 파력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이로 인하여 이안제 인접 후면에 위치한 연안은 침식과 퇴적의 작용이 활성화되게 된다.

    이안제 모식도
    • 이안제 모식도
    • 이안제 모식도

    이안제 모식도

  • 호안에 의한 침식

    호안(연안침식이나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구조물)설치는 침식에 의한 해안선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오래된 공법이나, 무분별한 호안의 설치는 반사파에 의한 파고증가 등으로 인해 호안의 하부구조가 세굴되어 궁극적으로 붕괴되는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호안에 의한 침식
    • 호안에 의한 침식
  • 퇴적물의 공급감소로 인한 침식

    하천으로 공급되는 모래가 하천 상류에 건설되는 댐, 하구둑, 수중보 등의 설치로 인해 연안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모래의 부족으로 인해 침식이 발생한다.

  • 준설로 인한 침식

    골재확보 등을 위해 해양에서 시행되는 준설은 궁극적으로 연안에 공급되는 모래의 공급을 감소시켜 연안의 침식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 방풍림 조성으로 인한 침식

    육지로부터 연안으로 공급되는 비사의 공급체계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방풍림 조성은 궁극적으로 모래의 공급을 감소시켜 침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 방풍림 조성으로 인한 침식
    • 방풍림 조성으로 인한 침식
연안침식 발생 전조 현상
호안·시설물 기초부 노출

호안 건설후 고파랑 내습시 호안 전면에서 모래가 유실되어 호안 기초부분이 드러나는 현상으로, 동해안 지역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호안·시설물 기초부 노출
  • 호안·시설물 기초부 노출
쇄파대 자갈화

해사 채취, 파랑 내습, 하천·배후지 개발 및 인공구조물 건설 후 해빈의 모래가 유실되어 자갈 등이 드러나는 현상으로, 모든 해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 쇄파대 자갈화
  • 쇄파대 자갈화
자연해안 포락

백사장 배후지가 자연해안인 지역에서 파랑의 영향으로 포락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서·남해안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자연해안 포락
해안절벽 발생

백사장 지역에서 잦은 고파랑이 발생하여 쇄파지역에서 백사장 경사가 급해지는 현상으로 동해안 지역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해안절벽 발생
연안침식 현황
연안침식 현황

- 연안침식 현황은 침식에 따라 등급으로 표시되며,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으로 나뉘어져 있음

연도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총개소 침식 우심률(%)
2021년 9 196 130 25 360 43.10
2020년 4 90 113 43 250 62.4
2019년 10 87 136 17 250 61.2
2018년 6 95 137 12 250 59.6
2017년 3 109 116 22 250 55.2
2016년 1 104 115 30 250 58
2015년 6 95 136 13 250 59.6
2014년 10 131 94 15 250 43.6
2013년 2 81 129 13 225 63.1
2012년 2 44 102 24 172 73.3
2011년 3 53 78 26 160 65
2010년 10 55 65 27 157 58.6
2009년 13 52 39 16 120 45.8
2008년 9 60 35 16 120 42.5
2007년 9 57 34 20 120 45
2006년 2 30 16 14 62 48.4
2005년 2 33 21 6 62 43.5
2004년 - 25 29 8 62 59.7
2003년 - 26 28 8 62 58.1
open 출저표시 공공누리인증서 1유형 연안포털 "연안침식 실태조사"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