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관리

  • 제2차 연안통합관리
    • - 연안통합관리변경계획(2016~2021)
    • - 연안통합관리계획 (2011~2021)
  • 연안관리지역계획
    • - 연안관리지역계획 소개
    • - 연안관리지역계획 고시현황
  • 연안정비
  • 공유수면
    • - 공유수면 소개
    • - 공유수면매립 정의
    • - 공유수면매립 역사
    • - 공유수면매립 절차
    • - 공유수면매립 현황
    • - 공유수면점용 · 사용 현황
  • 바닷가 관리
    • - 바닷가 관리 소개
    • - 바닷가 관리 현황
  • 무인도서
  • 연안기본조사
    • - 연안기본조사 소개
    • - 연안의 모습
    • - 연안이용
    • - 연안생태환경
    • - 연안사회경제
    • - 최종보고서
  • HOME > 연안관리 > 연안기본조사 > 최종보고서
  • 최종보고서
  • 최종보고서 안내입니다.
블릿아이콘 최종보고서
목차 페이지번호 다운로드
제1장 연안기본조사의 개요
· 제 1절 연안기본조사 추진개요 다운로드
1. 연안기본조사의 배경 및 추진경위 5
2. 연안기본조사의 추진방향 7
· 제 2절 연안기본조사 체계
1. 조사의 범위 9
2. 조사의 방법 14
3. 연안기본조사의 추진체계 17
제2장 부문별 연안기본조사
· 제 1절 연안의 모습 다운로드
1. 연안 21
2. 해안선 및 도서 23
3. 바닷가 35
4. 연안습지 및 해안사구 43
5. 연안육역 경사 및 재질 52
· 제 2절 연안 이용 · 개발 다운로드
1. 연안 해역이용 71
2. 연안 토지이용 104
3. 연안 이용 · 개발수요 147
· 제 3절 연안 재해 다운로드
1. 연안 재해 발생 159
2. 연안 재해 피해 175
3. 연안 재해 대응 198
· 제 4절 연안 생태 다운로드
1. 연안해역 생물종 212
2. 연안육역 생물종 264
3. 연안 생태계 관리 295
· 제 5절 연안 환경 다운로드
1. 연안 수질 311
2. 연안 오염원 360
3. 연안환경 관리 382
· 제 6절 연안사회 · 경제 다운로드
1. 연안 인구 401
2. 연안 산업 및 경제 425
3. 연안 친수 및 여가문화 447
4. 어촌정주환경 471
· 제 7절 연안통합관리정책 이행 다운로드
1. 연안통합관리정책의 이행점검 조사개요 485
2. 제2차 연안통합관리계획 이행점검 485
3. 연안관리정책 수행역량 설문조사 507
제3장 연안지표체계(안) 작성 및 적용
· 제 1절 연안지표체계(안) 개요 다운로드
1. 연안지표체계(안)의 작성목적 523
2. 국외 연안지표 작성 사례 524
3. 제2차 연안실태조사 지표 · 지수의 성과와 한계 528
· 제 2절 연안지표체계(안) 작성 및 적용
1. 연안지표체계(안) 작성 530
2. 연안지표 선정의 적절성 검토 534
3. 연안지표체계(안) 적용 541
4. 연안지표간 상관관계 분석 583
목차 페이지번호 다운로드
제1장 연안지역별 주요현안 조사 · 분석
· 제 1절 인천연안 다운로드
1. 인천연안 현황 5
2. 연안환경·생태관리 현안 14
3. 준설토 투기장 개발압력 증대 24
4. 연안지역 관광개발 압력 증가 27
5. 마리나항만 개발 추진 37
6. 기타 현안 42
· 제 2절 경기연안
1. 연안지역의 성장과 어촌의 쇠퇴 45
2. 경기연안 개발계획 관련 주요 현안 46
3. 매립사업에 따른 자연해안선 파괴 및 해안경관 관리현안 52
4. 경기도 연안관리 방향 55
· 제 3절 충남연안
1. 충남 연안 및 하구현황 60
2. 충남 연안 · 하구 주요현안 67
3. 충남 연안 및 하구관리정책 71
4. 하구복원정책의 필요성과 정책제언 75
· 제 4절 전북연안(곰소만)
1. 곰소만 개요 85
2. 곰소만의 자연지리와 지역현안 87
3. 곰소만 갯벌의 퇴적환경 : 현황과 전망 93
4. 곰소만 갯벌의 서식지 건강성 : 현황과전망 97
5. 요약 및 제언 103
· 제 5절 전남연안(도서)
1. 전남 도서현황 및 관리여건 105
2. 전남 도서관광 현황 및 문제점 107
3. 전남의 도서정책 : ‘테마섬’에서‘ 가고 싶은 섬’으로 108
4. 전남도서 관련 섬 발전 정책들 112
5. 전남 도서 관리 방향 116
· 제 6절 경남연안
1. 경남 연안자원 분포현황 118
2. 경남 연안개발의 문제점과 관리방향 122
· 제 7절 부산연안
1. 부산연안 주요 현황 126
2. 부산 연안관리 현안 141
3. 부산지역 연안관리 방안 145
· 제 8절 경북 및 강원연안
1. 강원 및 경북해안의 침식실태와 원인 150
2. 강원 및 경북해안의 침식심각지역과 갈등 159
3. 연안침식 대응 관련 정책방향 174
제2장 국외 연안관리 사례
· 제 1절 중국 해역관리제도 다운로드
1. 중국 해역관리제도의 개요 185
2. 해역사용관리법의 주요 내용 188
3. 전국해양기능구획 (2011 - 2020) 192
· 제 2절 일본 해안관리 제도
1. 해안법 195
2. 일본 해안경관 관리제도 204
· 제 3절 미국해안선 설계 지침
1. 개요 215
2. 푸젯사운드(Pugetsound)의 지형 환경 216
3. 스튜어드십(Stewardship) 217
4. 지역평가(Siteassessment) 218
5. 연안 프로세스 평가 223
6. 소극적 관리 기술 231
7. 해안선 설계기술 기법 232
· 제 4절 캐나다 연안개발등급 · 인증제
1. 녹색해안(Green Shore)인증제도의 개요 237
2. 녹색해안(Green Shore)인증의 필수조건과 점수 238
· 제 5절 영국 연안관리 제도
1. 연안 · 해양접근법 246
2. 영국 연안경관 관리제도 248
부록
부록1. 연안기본조사 지침 279 다운로드
부록2. 연안육역 경사 · 고도 및 서해안 재질 GIS 분석 305 다운로드
부록3. 자연해안관리목표제 개선방안 349 다운로드
부록4. 연안기본조사DB-연안포털 연계 이행사업 373 다운로드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