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주요통계
  4. 연안인포그래픽
연안환경
우리나라 해안선 및 무인도서 현황 인포그래픽. 총 해안선 길이 15,285.43km, 무인도서 2,180개. 인공해안선 36.4%(5,555.32km), 자연해안선 63.6%(9,730.11km). 
		   			원형 그래프로 전체 해안선 비율을 표시하고, 지도에는 인공·자연 해안선 구간이 색상으로 구분되어 표시됨. 하단 막대그래프는 무인도서 관리유형을 나타내며, 
					절대보전 145개소, 준보전 549개소, 이용가능 1,201개소, 개발가능 279개소, 준보전·개발가능 2개소, 이용가능·개발가능 4개소로 구성됨.
전국 바닷가 면적 30,076제곱킬로미터 인포그래픽.
					자연바닷가 13,240제곱킬로미터, 이용바닷가 16,836제곱킬로미터로 구성됨.
					막대그래프는 지역별 바닷가 개소를 나타내며,
					부산 자연 97·이용 29, 인천 자연 31·이용 37, 울산 자연 34·이용 75, 경기 자연 37·이용 194,
					강원 자연 63·이용 193, 충남 자연 117·이용 525, 전북 자연 369·이용 840,
					전남 자연 3,504·이용 525, 경북 자연 340·이용 362, 경남 자연 592·이용 297,
					제주 자연 752·이용 297로 표시되어 있음.
연안습지 면적 변화 그래프. 2003년 2,550.2천 제곱킬로미터, 2008년 2,489.4천, 2013년 2,487.2천, 2018년 2,482.0천, 2023년 2,443.3천 
			   제곱킬로미터로 점차 감소 추세를 보임. 오른쪽에는 전국 연안습지 분포가 표시된 지도 이미지가 함께 있음.
전국 연안 해수수질 평가지수 WQ등급 변화 그래프.
					2012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안 수질 등급 분포를 나타냄.
					1등급과 2등급이 전체의 약 75%로 가장 많으며,
					1등급은 약 450~700개 구간, 2등급은 400~650개 구간에서 분포함.
					3등급은 200~300개, 4등급과 5등급은 각각 100개 미만 수준으로 안정적인 추세를 보임.
					전반적으로 1, 2등급 비율이 높고 3~5등급은 상대적으로 적음.
					그래프는 연도별 선형 추세로 구성됨.
연안생태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연도별 보호구역 지정 면적 변화 그래프.
					보호구역은 총 75개소, 면적은 9,269천 제곱킬로미터(중복지역 포함)로 지정됨.
					연도별 지정 면적은 다음과 같음.
					2007년 235.8, 2008년 251.1, 2009년 257.2, 2010년 288.5, 2011년 288.6,
					2012년 360.3, 2013년 432.1, 2014년 471.5, 2015년 485.0,
					2016년 576.8, 2017년 586.4, 2018년 586.4, 2019년 586.4천 제곱킬로미터.
					오른쪽에는 전국 보호구역 분포를 표시한 지도 이미지가 함께 있음.
전국 해양생태도 189개소 등급별 현황 그래프. 
			1등급 110개소(58%), 2등급 75개소(40%), 3등급 4개소(2%)로 구성됨. 
			지역별로는 서해 1등급 39개, 2등급 36개, 3등급 1개. 
			남해 1등급 30개, 2등급 27개, 3등급 3개. 
			동해 1등급 26개, 2등급 0개, 3등급 0개. 
			제주 1등급 15개, 2등급 5개, 3등급 0개로 표시됨. 
			원형 그래프는 전체 비율을 나타내며, 1등급 비중이 가장 높음.
연안이용개발
2012년부터 2024년까지 연안 시·도별 공유수면 점용·사용 건수와 면적 변화 추이 그래프. 
			막대그래프는 건수, 꺾은선 그래프는 면적을 나타냄. 
			점용·사용 건수는 2012년 약 800건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23년 약 1,900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하고 2024년에는 약 1,700건 수준임. 
			면적은 2012년 약 8,000천㎡에서 변동을 거쳐 2024년 약 17,000천㎡로 증가함. 
			전체 누적 건수는 17,838건, 전체 누적 면적은 118,889.4천㎡로 집계됨.
연안 시·도별 진행단계별 공유수면 매립 건수와 면적 변화 그래프. 
			파란색 막대그래프는 매립 건수, 분홍색 꺾은선 그래프는 매립 면적을 나타냄. 
			1991년 이전 약 40건, 제1차(1991~2001년) 약 290건, 제2차(2001.7~2006.1) 약 150건, 제3차(2011.7~2021.8) 약 40건, 제4차(2021.8~현재) 약 5건 수준. 
			매립 면적은 1991년 이전 약 900,000천㎡에서 단계별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총 누적 건수는 537건, 총 누적 면적은 903,174천㎡임.
전국 항만 62개소, 어항 2,273개소 현황 인포그래픽. 
				항만은 연안항 31개소, 무역항 31개소로 구성됨. 
				어항은 총 2,273개소로 국가어항 115개소, 지방어항 289개소, 어촌정주어항 632개소, 소규모어항 1,235개소, 마을공동어항 2개소로 구분됨. 
				두 개의 원형 그래프가 각각 항만과 어항의 비율을 시각적으로 나타냄.
연안사회경제
전국 인구의 27.6%가 연안 시·군·구에 거주함을 나타내는 인포그래픽. 
		연안 인구는 2019년 1,398만 명(26.9%), 2020년 1,407만 명(27.1%), 2021년 1,400만 명(26.9%), 2022년 1,416만 명(27.5%), 2023년 1,418만 명(27.6%)으로 안정적인 비율을 유지함. 
		2023년 기준 연안 시·도별 평균 인구는 전남, 부산, 인천 순으로 높으며, 
		오른쪽 지도에는 2023년 연안 시·군·구 인구 분포가 색상 농도로 표시되어 있음. 짙은 붉은색일수록 인구 밀집 지역을 의미함.
전국 지정 해수욕장 282개소 현황 그래프. 
			강원도 95개, 전라남도 66개, 경상남도 27개, 충청남도 27개, 경상북도 27개, 제주도 12개, 인천 11개, 전북 8개, 부산 7개, 울산 2개로 나타남. 
			강원도와 전남 지역의 해수욕장 개수가 가장 많음.
연안재해
연안지역 자연재해 피해 원인 인포그래픽. 
				자연재해 피해 중 태풍이 22,243건으로 가장 많으며, 
				호우 21,779건, 지진 983건, 강풍 346건 순으로 나타남. 
				그래프에서는 태풍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연안지역 자연재해의 핵심적인 피해 원인으로 표시됨.
open 출저표시 공공누리인증서 1유형 연안포털 "연안인포그래픽"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