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관리 전문교육
공무원(중앙·지자체) 및 해양 관련 민간기업 실무자의 연안관리, 해양공간, 공유수면 관리업무에 필요한 소양과 실무능력 향상
교육내용
교육대상 |
|
---|---|
교육인원 |
|
교육일정 |
|
교육비 |
|
수료기준 |
※ 카메라가 설치된 PC/노트북/모바일이 반드시 필요하며, 교육 참여 동안에는 반드시 음소거 및 카메라에 본인 노출 필요 |
참가자 선물 제공 |
|
교육일정
일정 | 교육시간 | 시간 | 교육과정 | 교육강사 |
---|---|---|---|---|
1일차 9월 26일(월) 11월 30일(수) |
10:00~11:00 | 1시간 | 해양공간 통합관리 정책과 해양공간계획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최희정 부연구위원 |
13:00~14:00 | 1시간 | 해양공간적합성 협의제도의 이해 | 해양환경공단 정회인 과장 | |
14:00~15:00 | 1시간 | 해양공간정보체계 구축 및 운영 | (주)올포랜드 김태현 차장 | |
15:00~16:00 | 1시간 | 해양공간 특성평가제도의 이해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김태훈 연구원 | |
2일차 9월 27일(화) 12월 1일(목) |
9:30~10:30 | 1시간 | 연안재해위험평가제도의 이해 | ㈜지오시스템리서치 강태순 수석 |
10:30~11:30 | 1시간 | 연안재해위험평가 활용방안 | ㈜지오시스템리서치 강태순 수석 | |
13:00~14:00 | 1시간 | 공유수면관리제도의 이해 | 연안교육센터 강남희 책임연구원 | |
14:00~15:00 | 1시간 |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반영 요청서 작성 요령 | 연안교육센터 심승혜 연구원 | |
3일차 9월 28일(수) 12월 2일(금) |
9:30~10:30 | 1시간 | 관리해안선의 개념과 역할 | ㈜지오시스템리서치 강태순 수석 |
10:30~11:30 | 1시간 | 관리해안선의 이해 및 활용방안 | ㈜혜인이엔씨 안익장 대표 | |
13:00~15:00 | 2시간 |
파랑에 의한 해빈형태학적 과정의 적용 |
성균관대학교 이정열 교수 |
교육신청
신청기한 |
|
---|---|
신청방법 |
|
교육문의 |
|
교육신청 |
![]() |
1일차(9.26, 11.30) 교육
⓵ 해양공간 통합관리 정책과 해양공간계획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⓶ 해양공간적합성 협의제도의 이해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⓷ 해양공간정보체계 구축 및 운영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⓸ 해양공간 특성평가제도의 이해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2일차(9.27, 12.1) 교육
⓵ 연안재해위험평가제도의 이해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⓶ 연안재해위험평가 활용방안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⓷ 공유수면관리제도의 이해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⓸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반영 요청서 작성 요령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3일차(9.28, 12.2) 교육
⓵ 관리해안선의 개념과 역할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⓶ 관리해안선의 이해 및 활용방안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⓷ 파랑에 의한 해빈형태학적 과정의 적용
구분 | 내용 | ||
---|---|---|---|
과정명 |
|
||
교육 대상 |
|
||
필요 지식 |
|
||
교육 목적 |
|
||
교육내용 |
|
||
소요시간 |
|
||
기대효과 |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
공유수면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문지식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공유수면 및 연안관리 분야의 업무수행역량 강화
사업내용
교육대상 |
|
---|---|
시행방법 |
|
교육과정 |
|
교육일정 |
|
해양공간 통합관리 분야 관련제도의 이해
구분 | 내용 | ||
---|---|---|---|
교육대상 |
|
||
시행 방법 |
|
||
교육 내용 |
|
||
교육 횟수 | 총 1회 | 교육 일정 | 9월 |
교육 인원 | 200명 | 교육 강사 | 전문기관 강사 / 외부전문가 |
연안 및 공유수면관리 분야 관련제도의 이해
구분 | 내용 | ||
---|---|---|---|
교육대상 |
|
||
시행 방법 |
|
||
교육 내용 |
|
||
교육 횟수 | 총 1회 | 교육 일정 | 9월 |
교육 인원 | 200명 | 교육 강사 | 협회 강사 / 외부전문가 |
연안관리 전문교육
공유수면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문지식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공유수면 및 연안관리 분야의 업무수행역량 강화
사업내용
교육대상 |
|
---|---|
시행방법 |
|
교육과정 |
|
전문교육Ⅰ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전문교육Ⅱ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전문교육 Ⅲ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전문교육 Ⅳ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전문교육 Ⅴ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전문교육 Ⅵ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전문교육 Ⅶ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교육일정
일정 | 교육내용 | ||||
---|---|---|---|---|---|
10:30~11:30 | 13:00~14:00 | 14:00~15:00 | 15:00~16:00 | 16:00~17:00 | |
12-03(목) | 해양공간 통합관리 정책과 해양공간계획 | 해양공간적합성 협의제도의 이해 | 해양공간정보 체계구축 및 운영 | 해양공간 특성평가제도의 이해 | |
12-04(금) | 공유수면관리제도의 이해 | 연안재해위험평가제도의 이해 | 바닷가 조사 및 관리의 이해 |
연안관리 전문교육
공유수면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문지식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공유수면 및 연안관리 분야의 업무수행역량 강화
사업내용
교육대상 |
|
---|---|
시행방법 |
|
교육내용 |
|
교육장소 |
|
연안관리 전문교육Ⅰ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Ⅱ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 Ⅲ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 Ⅳ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교육일정
일정 | 교육내용 | |||
---|---|---|---|---|
1교시 (13:00~13:50) | 2교시 (14:00~14:50) | 3교시 (15:00~15:50) | 4교시 (16:00~16:50) | |
07-11(목) | 해양공간관리제도의 이해 | 해양공간적합성협의 대응 |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과 전략환경영향평가 | 해안침식 발생과 합리적 대응 및 대책 |
08-22(목) | ||||
10-24(목) | ||||
01-06(목) |
연안관리 전문교육
공유수면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문지식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공유수면 및 연안관리 분야의 업무수행역량 강화
사업내용
교육대상 |
|
---|---|
시행방법 |
|
교육내용 |
|
교육장소 |
|
연안관리 전문교육Ⅰ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Ⅱ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 Ⅲ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교육일정
일정 | 교육내용 | ||
---|---|---|---|
1교시 (14:00~14:50) | 2교시 (15:00~15:50) | 3교시 (16:00~16:50) | |
10-25(목) | 연안정비사업 공법 | 바닷가 실태조사를 활용한 바닷가 관리 | 공유수면매립 및 연안정비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응 |
10-26(목) | 바닷가 실태조사를 활용한 바닷가 관리 | 공유수면매립 및 연안정비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응 | 연안정비사업 공법의 이해 |
연안관리 전문교육
공유수면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문지식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공유수면 및 연안관리 분야의 업무수행역량 강화
사업내용
교육대상 |
|
---|---|
시행방법 |
|
교육내용 |
|
교육장소 |
|
연안관리 전문교육Ⅰ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Ⅱ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 Ⅲ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 Ⅳ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강사 |
|
교육일정
일정 | 교육내용 | ||
---|---|---|---|
1교시 (14:00~14:50) | 2교시 (15:00~15:50) | 3교시 (16:00~16:50) | |
10-20(금) | 연안정비사업 공법 | 연안관리지역계획 운영 | 공유수면법 개정 사항 |
10-26(목) | 연안관리지역계획 운영 |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응 | 연안정비사업 공법 |
11-02(목) | 연안관리지역계획 운영 | 공유수면의 이용 및 관리 |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응 |
11-09(목) | 공유수면의 이용 및 관리 |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응 | 연안정비사업 공법 |
연안관리 전문교육 과정은?
연안관리제도 도입의 배경, 지역특성에 맞는 공법 검토 및 설계기법, 연안관리지역계획 중 용도해역/기능구/자연해안관리 목표수립에 요구되는 기술정보와 전문지식을 함양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연안관리 전문교육Ⅰ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교수매체 |
|
교재 |
|
과정이력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Ⅱ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교수매체 |
|
교재 |
|
과정이력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 Ⅲ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교수매체 |
|
교재 |
|
과정이력 |
|
강사 |
|
연안관리 전문교육Ⅳ
과정명 |
|
---|---|
교육대상 |
|
필요지식 |
|
교육목적 |
|
교육내용 |
|
소요시간 |
|
기대효과 |
|
교수매체 |
|
교재 |
|
과정이력 |
|
강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