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수산신지식인 선정 결과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41124 조회수 : 667

수산 신지식인, 어(魚)우동 등 창의적 발상으로 경쟁력 높인다

 

- 제8회 수산 신지식인 학술대회(26∼27일)에서 2014년 수산 신지식인 포상 -

  해양수산부(장관 이주영)는 고령화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산물 가공분야를 중심으로 ‘2014년 수산 신지식인’ 10명을 선정하였다.

수산 신지식인은 창의적 사고나 발상으로 일하는 방식 등을 혁신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공유한 어업인을 말하며, 1999년 부터 지난해까지 총 178명이 선정되었다.

올해 수산 신지식인 중 최우수상의 영광은 제과점 형태의 어묵카페를 통해 새로운 어묵시장을 창출한 부산 사하구의 김형광 씨에게 돌아갔다. 김형광 씨는 생선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거부감 없이 먹을 수 있도록 생선으로 면을 만든 어(魚)우동을 비롯하여 어묵 크로켓, 어묵 초밥, 어묵 회 등을 개발하여 인기리에 판매하고 있다.

또한, 우수상은 어류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절임류와 장류 식품군을 개발하여 해외시장을 개척한 경북 포항의 강영화 씨, 장려상은 산지 어획물 자동처리 시스템을 개발한 부산 사하구의 정석봉 씨가 받게 되었다.

  그 외에 주홍준 씨(충북 청주), 김광남 씨(전남 완도), 위지연 씨(전남 완도), 김주환 씨(전남 강진), 박성창 씨(전남 신안), 서윤기 씨(경남 통영), 강동은 씨(제주 제주) 등 2014년 수산 신지식인으로 최종 선정된 10인은 오는 26일 ‘제8회 수산 신지식인 학술대회’에서 신지식인 인증서를 받게 되며, 최우수상·우수상·장려상으로 선정된 3인에게는 장관상이 수여된다.

경남 통영 국제음악당에서 개최되는 ‘제8회 수산 신지식인 학술대회’는 350여 명이 참여하여 26일부터 27일까지 1박2일로 진행된다. 첫날에는 신지식인들의 성공사례 발표와 지자체 수산기술 보급기관의 우수 지도사례 발표 후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우수한 수산 기술과 경영정보를 교류하고, 둘째 날에는 우수 사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체험하며 어업인들 스스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할

한글파일 141125(조간) 수산신지식인 선정 결과(소득복지과).hwp
  • 한-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결과
  • 어항, '한국의 미'를 대표하는 해양 명소 브랜드로 재탄생한다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