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자동 로그아웃 안내

로그아웃까지 남은 시간 :

장시간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
잠시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될 예정입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김·미역 생산량 최근 5년간 최고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6-10 조회수 : 2084

2013년산 해조류(김, 미역) 생산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어기(漁期)가 종료됐다.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를 통해 지난 5월까지 주요 해조류(김, 미역)의 생산동향을 분석한 결과 김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1억4천만 속, 미역은 27% 증가한 50만 톤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김과 미역은 주로 전년도 10~11월경 생산을 시작해 다음해 5월경 생산이 종료된다.


김은 양식시설량이 지난해에 비해 일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병해에 강하고 수확량이 많은 수퍼김(해풍1호)의 생산이 순조로워 생산량이 증가했으며, 특히 김 생산에 적합한 수온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갯병 등 질병 발생이 적었던 것도 호황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 김 양식시설량 : (‘12년) 77.5만 책(1책=2.2m×40m 기준) → (’13) 74.3(4.1%↓)


물김 평균 위판가격은 생산량 증가로 인해 지난해보다 12.8% 낮은 kg당 655원 수준에서 형성됐으며, 도매가격도 전년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최근 평년 수준까지 회복되어 김밥용 마른김의 5월 도매가격은 속당 3,485원을 기록했다.


김 수출은 지난해 2억3100만불에 이어 올해도 1월부터 5월까지 수출액이 1억100만불로 호조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조미김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역도 어기 내내 해황 여건이 좋고 작황이 양호했으며, 양식시설량 증가 등에 힘입어 최근 5년 동안 최대 생산치를 기록하였다.


 * 미역 양식시설량 : (’12년)45.8천줄(1줄=100m 기준) → (’13)46.8(2.2%↑)


생산량 증가에 따라 산지 및 도매가격은 하락했는데 이는 김과 달리 수출이 저조한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5월 현재 마른실미역 도매가격은 kg당 9,375원으로 평년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미역 수출은 일본 원전사태 이후 2011년에는 대 일본 수출이 대폭 증가했으나 일본 내 생산량 및 재고량 증가 등으로 지난해 수출액은 3600만불을 기록한데 이어 올해 5월까지 수출액도 1600만불을 나타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해수부는 해조류 생산량과 재고량 증가로 인해 가격하락 현상이 장기화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수산업관측센터를 통해 도매시장 가격과 수출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해조류는 우리나라 대표 양식 품목으로 지난해 기준으로 김, 미역 두 품목의 생산량이 전체 바다 양식생산량의 46%를 차지하고 있다.

한글파일 130607(조간) 김, 미역 생산량 최근 5년간 최고(어촌양식정책과).hwp
  • 싱싱한 바다소식 매달 받아보세요
  • 연안가치 창조를 위해 전문가들 한자리에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