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폐기물 해양투기관리 국제 전문가회의 한국인 주도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6-03 조회수 : 2094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폐기물 해양투기 방지에 관한 국제협약인 런던협약 및 런던의정서 합동과학그룹 총회에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의 홍기훈 박사가 차기회의 의장으로 연임됐다고 밝혔다.


5월 24일부터 31일까지 아르헨티나에서 개최된 합동과학그룹 총회 마지막 날 홍기훈 박사는 만장일치로 내년도 미국 루이지애나에서 열리는 회의 의장으로 연임되었다.


과학그룹회의 의장은 매년 합동과학그룹회의 총회에서 선출하고 있으며 최대 4년까지 연임할 수 있다. 홍기훈 박사는 2011년에 비영어권국가에서는 처음으로 의장으로 선출되어 3년 연속 의장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합동과학그룹회의는 당사국들의 협약 이행여부를 심의하는 준수그룹회의와 폐기물의 해양투기 방지를 위한 런던협약 및 런던의정서의 최고 전문기구로서 핵심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과학그룹회의는 협약당사국들이 IMO 사무국에 보고하는 폐기물의 해양투기 실태 및 투기해역의 환경상태에 대한 심사와 폐기물 평가지침 제정 등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모든 과학·기술적 수단에 관한 안건들을 사전 심의하여 당사국총회에 보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올해 과학그룹회의에서는 홍기훈 박사 주도로 준설물 평가지침에 대한 각 국의 합의를 이끌어내고 아프리카 등 제3세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등 큰 성과를 이루었다.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가 런던협약 및 런던의정서 합동과학그룹 의장국으로 2번 연임된 것은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반영한 것이며, 국제압력에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국가에서 국제질서를 만들어 가는 해양환경 선진국으로 도약했음을 의미 한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나라는 호주와 함께 해양지구공학**사업수행시 사전예방에 중점을 둔 런던의정서 개정안을 제출했고, 해양시비사업 심의지침서*** 제정에도 핵심 역할을 함으로서 국제사회의 기대에 부응하고, 해양투기와 관련한 주요 의제를 적극 주도하고 있다.

 

  * 런던협약은 현재 87개국, 런던의정서는 42개국이 회원국으로 가입해 활동중. 우리나라는 런던협약은 1993년 12월, 런던의정서는 2009년 1월에 가입

 ** 해양지구공학(Marine Geoengineering)은 최근 지구온난화 대응책으로 각광받기 시작한 분야로, "해양을 활용하여 인위적으로 기후를 조절하는 기술"로 정의되며, 크게 이산화탄소 제거기술(해양시비, CCS등)과 태양복사관리기술의 두 핵심기술로 분류됨

*** 해양시비(海洋施肥) 심의지침서: 해양시비란 지구온난화저감 목적으로 해양에 "식물의 영양분(질소, 철분등)을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광합성을 증가시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활동"을 말하며, 동 지침은 2010년 런던의정서 당사국총회에서 채택

한글파일 130603(조간) 폐기물 해양투기관리 국제 전문가회의 한국인 주도.hwp
  • 수면비행선박의 안전관리 기준 대폭 강화된다
  • 내항상선 5급 해기사 단기양성 과정 교육생 모집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