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안포털

로그인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 모니터링 영상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 점용·사용

      • 공유수면 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 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 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 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바로가기

  • 연안지도
  • 연안관리
  • 공유수면관리
  • 연안소식
  • 자료실
  • 연안지도

연안관리

  • 연안정비
    • 연안정비 소개
    • 제 3차 연안정비 대상사업
  • 연안침식
    • 연안침식 소개
    • 연안침식관리구역
    • 연안침식 사례
    • 연안침식실태조사 소개
    •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 연안침식모니터링

공유수면관리

  • 공유수면소개
    • 공유수면의 의의
  • 공유수면점용·사용
    • 공유수면점용·사용이란
    • 공유수면점용·사용 절차
    • 공유수면점용·사용 현황
  • 공유수면점용·사용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공유수면매립
    • 공유수면매립이란
    • 공유수면매립 역사
    • 공유수면매립 절차
    • 공유수면매립 현황
  • 공유수면매립 민원신청
    • 온라인 민원 FAQ
    • 온라인 민원신청
  • 바닷가실태조사
    • 바닷가 관리 소개
    • 바닷가 관리 현황

연안소식

  • 해수욕장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 주요통계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뉴스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자료실

  • 자료제공 서비스
    • 문서자료
    • 연안관리계획 고시
    • 공간정보
  • 용어사전

연안지도

  • 연안지도

전체메뉴

연안포털

연안소식

    • 우수해수욕장
    • 해수욕장 이용현황
    • 해안누리길 소개
    • 해안누리길 현황
    • 갯벌현황 검색
    • 연안 인포그래픽
    • 연안기본조사
    • 연안환경
    • 연안생태
    • 연안이용개발
    • 연안사회경제
    • 연안재해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개선의견수렴
  1. 홈
  2. 연안소식
  3. 뉴스소식
  4. 보도자료
보도자료

국내외 석학, 해양생명공학 미래설계를 위해 한자리에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3-05-21 조회수 : 2114

국내외 석학들이 우리나라 해양생명공학 분야의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인다.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5월 22일(수) 제주 샤인빌리조트에서 '해양생명공학의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 국제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워크숍은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이 주최하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주관하는 행사로, '차세대 해양생명공학사업 추진전략('14~'23)' 마련을 위한 심도 깊은 논의가 펼쳐질 전망이다.


해양생명공학 산업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유망한 산업 분야이다. 해양생물은 전 지구 생물종의 약 80%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이로부터 개발된 유용신물질은 1% 미만이어서 개발 잠재력이 매우 풍부한 것이 장점이다.


특히, 해양생명공학 분야는 '해양'이라는 극한환경을 극복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기술수준이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가 얼마나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느냐에 따라 세계를 리드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가능한 영역이다.


이번 국제워크숍에서는 세계적 석학인 캐나다 범미 해양생명공학협회(Pan-American Marine Biotechnology Association) 회장인 반디미르(Dr. John Peter Van der Meer) 박사와 일본 리쭈메이칸 대학(Ritsumeikan Univ.)의 타다유키 이마나카(Dr. Tadayuki Imanaka) 교수가 북미와 일본의 해양생명공학 정책동향에 대해 기조연설을 한다.


또한, 해양생명공학 분야를 4개로 나누어 국내 학자 4명(성균관대 윤환수 교수, 해양과기원 강도형 박사, 부산대 정지형 교수, 충북대 박중기 교수)이 우리나라 해양생명공학사업의 미래전략이라는 제목으로 각각 발제하며,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 존 리브(Dr. John N. Reeve) 교수 등 6명의 국내외 전문가가 심도 깊은 토론을 진행한다.


이날 논의되는 내용은 해양수산부에서 금년말 수립 예정인 '차세대 해양생명공학 추진전략('14~'23)'에 적극적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해양생명공학은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성을 가진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새정부의 '창조경제 실현'과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향후 해양생명공학 연구 및 제품개발 수준이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글파일 130522(조간) 국내외 석학 해양생명공학 미래설계를 위해 한자리에(해양생태과).hwp
  • 렌즈에 '미래의 희망 해양' 을 담아요
  • 수면비행선박의 안전관리 기준 대폭 강화된다
해양수산부

[30110] 세종특별자치시 다솜2로 94(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양수산부

  • 시스템문의 044-200-5694(평일 09:00~18:00, 점심시간 12:00~13:00)
포털소개 개선의견수렴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저작권 정책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ll right reserved.

해양수산부 이 누리집은 해양수산부 누리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