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극의 환경과 과학, 그리고 사람을 이야기하다 작성자 : 장성동 작성일 : 2025-11-11 조회수 : 0 |
|---|
|
남극의 환경과 과학, 그리고 사람을 이야기하다 - ‘제2차 남극포럼: 남극지식대화’ 11월 11일 서울에서 개최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극지연구소(소장 신형철)와 함께 11월 11일(화) 서울 중구 ‘온드림 소사이어티’에서 ‘제2차 남극포럼: 남극지식대화’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2회째인 ‘남극포럼’은 기존에 연구자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남극 관련 논의를 국민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여 남극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기획되었다. 특히, 올해는 ‘남극 365일, 사람과 과학이 만나는 곳’이라는 주제로 환경 및 생명공학 분야 전문가들이 실제 남극에서 겪은 생생한 경험담을 가지고 강연을 진행한다.
첫 번째 강연자인 강승현 극지연구소 연구원은 남극환경보호위원회(CEP)* 한국 대표로서, 최근 남극에서 발견되는 겨울각다귀**가 북미 지역에서 유래했음을 밝혀 외래종에 의한 남극생태계 교란 실태를 규명하는 등 풍부한 남극 생태계 관련 연구 경력이 있는 전문가이다. 강 연구원은 이번 포럼에서 그간의 남극 탐험 경험을 바탕으로 남극 환경보호 정책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현재 어떤 정책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자세히 소개할 전망이다.
* 남극환경보호의정서(1998년 발효)에 따라 설립된 자문기구로, 남극조약 협의당사국에 남극 환경보전과 생태계 보호 관련 과학·기술 자문 제공 ** 겨울각다귀(Trichocera maculipennis)는 북반구의 동굴 등에 서식하는 곤충으로, 남극 사우스 셔틀랜드 제도에서 15~20년 전 처음 보고된 이래 최근 세종과학기지 등에서 발견되고 있음
민준홍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협력연구생은 지난 37차 세종과학기지 월동연구대(2023. 12.~ 2024. 12.)에서 지질·지구물리 담당으로 활약하며 풍부한 극지 경험을 쌓았다. 올해 초 tvN ‘유퀴즈 온 더 블록’에 출연해 화제가 되기도 한 민 전 대원은 실제로 월동대가 남극 체류 도중 촬영한 사진들을 보여주며 월동대의 생활상을 생생히 전달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도학원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얼음을 이용해 인슐린 등 단백질 기반 의약품을 친환경적으로 합성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등 극지의 특수성을 활용한 생명공학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도 책임연구원은 이번 포럼에서 남극이라는 극한의 환경에서 생명을 보호하는 특수한 단백질이 어떻게 생명공학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지를 알려줌으로써 남극 연구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줄 계획이다.
이번 남극포럼에는 남극에 관심이 있는 국민 누구나 참석할 수 있으며, 포스터에 안내된 정보무늬(QR코드)를 통해 사전 신청 후 참여 가능하다.
김명진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관은 “남극의 무한한 과학적, 환경적 가치를 알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민 여러분의 큰 관심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남극포럼이 남극과 극지 연구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는 뜻깊은 자리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 251111(조간) 남극의 환경과 과학, 그리고 사람을 이야기하다(해양개발과).pdf |
251111(조간) 남극의 환경과 과학, 그리고 사람을 이야기하다(해양개발과).pdf